전기연, 출입자 인식, 발열체크, 신원정보까지 파악
관공서, 공항 등서 활용 가능...여권정보와 연계 가능
AI(인공지능)로 사람의 얼굴 인식을 99% 정확도로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은 배정효 박사 연구팀이 AI 전문 기업인 아이이에스, 아디아랩과 공동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출입자 인식과 발열 체크, 인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한꺼번에 확보할 수 있는 'AI 안면인식 및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특정 공간을 출입할 때 체온 측정과 방문기록 작성 등 별도 절차를 밟아야 하고, 관리 요원 상시 상주와 정보 확인 과정에서 상호 접촉에 따른 교차 감염 우려가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상황의 알고리즘 분석 연구를 통해 안면 인식률을 98∼99%까지 높였다. 이는 기존 상용제품의 안면 인식율 68∼94%를 훌쩍 뛰어넘는 것으로,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사람을 구별할 수 있다.
방문자들은 최초 1회만 데이터 등록을 해 놓으면, 추후 방문 때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방문 신원 정보를 자동으로 확인, 번거로운 절차 없이 원하는 장소에 입장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관공서나 공공기관, 공항, 사무실, 공장 등에 적용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공항에서 여권 정보와 연동·활용하면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수속절차를 밟을 수 있다.
배정효 전기연 박사는 "국내 최고 수준의 높은 안면인식률을 통해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다"며 "AI 인식률 강화를 위한 알고리즘 보완 연구를 통해 기술 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공서, 공항 등서 활용 가능...여권정보와 연계 가능
AI(인공지능)로 사람의 얼굴 인식을 99% 정확도로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은 배정효 박사 연구팀이 AI 전문 기업인 아이이에스, 아디아랩과 공동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출입자 인식과 발열 체크, 인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한꺼번에 확보할 수 있는 'AI 안면인식 및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특정 공간을 출입할 때 체온 측정과 방문기록 작성 등 별도 절차를 밟아야 하고, 관리 요원 상시 상주와 정보 확인 과정에서 상호 접촉에 따른 교차 감염 우려가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상황의 알고리즘 분석 연구를 통해 안면 인식률을 98∼99%까지 높였다. 이는 기존 상용제품의 안면 인식율 68∼94%를 훌쩍 뛰어넘는 것으로,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사람을 구별할 수 있다.
방문자들은 최초 1회만 데이터 등록을 해 놓으면, 추후 방문 때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방문 신원 정보를 자동으로 확인, 번거로운 절차 없이 원하는 장소에 입장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관공서나 공공기관, 공항, 사무실, 공장 등에 적용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공항에서 여권 정보와 연동·활용하면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수속절차를 밟을 수 있다.
배정효 전기연 박사는 "국내 최고 수준의 높은 안면인식률을 통해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다"며 "AI 인식률 강화를 위한 알고리즘 보완 연구를 통해 기술 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준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