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은 [세종], 단어의 아버지는 [후쿠자와 유키치] > 최근글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최근글 목록

훈민정음은 [세종], 단어의 아버지는 [후쿠자와 유키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만원 작성일19-09-28 12:37 조회7,372회 댓글0건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본문

        훈민정음은 [세종], 단어의 아버지는 [후쿠자와 유키치]

 

훈민정음은 당시 조선인의 언어를 표현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했다. 떼어 쓰기도 안 됐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의 떼어쓰기는 1877년 영국 목사 존 로스(John Ross)가 편 조선어 첫걸음’(Corean Primer)에서 펼쳤다고 한다(국립어학원).


한굴첫걸음.jpg

 

그리고 우리가 지금 실용화하고 있는 단어들은 일본에서 가장 존경받던 학자 유키치에 의해 실용화되었다. 그의 서양어 번역사업팀이 영어단어를 한자로 번역한 것을 유길준 등을 통해 조선 유학자들에 주었다고 한다. 이런 유키치의 학습을 받아 유길준이 1895년 세상에 내놓은 작품이 [서유견문]이었다. 우리에게 지금 사용하고 있는 표현용 단어들을 만들어 준 사람은 조선 사람이 아니라 일본의 후쿠자와 유키치였다. 한 연구에 의하면 현재 우리가 현재 사용 중인 한자단어의 70% 정도를 유키치가 이끄는 번역사업의 결과라 한다.

 

아시아를 벗어나 서구에 편입해야 한다는 탈아입구(脫亞入歐)’론을 주장하며 일본 근대화의 틀을 제공한 이끈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그는 서양의 ‘democracy’라는 개념을 두고 처음에는 하극상(下剋上)’으로 번역했다가 나중에 민주(民主)로 바꿨다고 한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시빌라이제이션(civilization)을 문명으로, 라이트(right)는 권리로, 소사이어티(society)는 사회로 번역했다. 복식부기·보험 등의 번역도 그의 작품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개념어한자는 대부분 서양(그리스) 언어 번역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철학·예술·사회·문화·문명·자유·권리·개인 등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개념어들이 한자로 번역됐다. 거기에는 서구 문명의 한가운데로 유학을 가서 견문을 넓히고 돌아온 메이지(明治) 시대의 언어와 지식 천재들의 역할이 컸다.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2633

  

학교, 시간, 경제, 문화, 문명, 사상, 연설, 계급, 법률, 자본, 토론, 종교, 이성, 철학, 감성, 주관, 의식, 과학, 물리, 화학, 분자, 원자, 질량, 공간, 이론, 문학, 미술, 비극, 사회주의, 공산주의, 이런 단어를 새로 만들어 준 사람이 유키치다. 우리가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영한사전을 찾아서 영어단어를 외우듯이 우리가 지금 현재 쓰는 단어는 세종이 만든 것도 아니고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어 낸 것도 아니다. 유키치가 만들어 준 것이다. 세종 시대의 집현전 학자들은 중국에 매몰돼 있는데다 자기들이 느끼는 희귀가치 즉 기득권을 놓으려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유키치 이전에는 한문만 사용했다. 유키치 이전에는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학교라 했다. 다리를 라 했고, 가르치는 것을 라 했고, 상대방과의 교류하는 것을 라 했다. 이는 글자였지 의사를 교환할 수 있는 단어가 아니었다. 예를 들면 스승은 교를 건너 교에 가서 교하고 하루 종일 교한 학생들은 밤늦도록 교했다고 쓰거나 말하면 누구도 뜻을 알아듣지 못했다. 그래서 이런 말은 한문을 배운 소수의 양반들끼리만 종이와 붓을 통해 그들의 의사를 소통할 수밖에 없었다. 후키치는 서양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특히 영어단어를 한자단어로 만드는 일에 수많은 학자들을 이끌고 연구했다고 한다. 이로부터 영어를 한자단어로 전환시켜 놓은 것을 한글로 전환하는 일에 유길준(1856~1914)과 주시경(1876~1914) 최현배(1894~1970) 등이 체계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언문이다, 암클이다 천시 받던 훈민정음이 [후쿠자와 유키치]에 의해 한글로 태어났던 것이다. 이 엄연한 사실은 그 동안 반일적인 사회적 정서에 묻혀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조선인들과 그 후예들은 참으로 배은망덕한 존재였음을 우리는 늦게라도 깨달아야 할 것이다.

 

<포천뉴스> 201556<김진수 칼럼>

http://www.pcnt.kr/sub_read.html?uid=14380

 

 

2019.9.28. 지만원   

http://www.systemclub.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목록

Total 14,211건 97 페이지
최근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1331 (민전)중앙위원에 김대중과 어깨를 나란히 조맹규(조국 종조부) 댓글(2) 김제갈윤 2019-10-10 5293 191
11330 지만원tv, 제123화, 정의냐불의냐, 내편이냐네편이냐 지만원 2019-10-11 5455 123
11329 준비서면(서정갑) 지만원 2019-10-11 5102 101
11328 지만원tv, 제122화 ‘서정갑의 일탈행위 지만원 2019-10-08 5184 121
11327 1894년 거지동네의 서울모습! (진리true) 진리true 2019-10-07 6083 139
11326 연세대 입학서류가 사라진 까닭은? (비바람) 댓글(1) 비바람 2019-10-07 5236 256
11325 지만원tv, 제121화 문재인 편의대 전두환편의대 지만원 2019-10-07 5480 103
11324 확정된 프롤로그(조선과 일본) 지만원 2019-10-06 5734 281
11323 에필로그(조선과 일본) 지만원 2019-10-06 5135 239
11322 대한민국에서 아주 흔한 잘못된 선택 비바람 2019-10-05 5808 327
11321 알아서는 안 되는 일제시대의 진실 댓글(1) 방울이 2019-10-04 6888 216
11320 조선인과 유키치의 말 중 어느 말이 사실인가? 지만원 2019-10-02 6222 255
11319 지만원tv, 제120화 2.2억 강탈한 광주족 지만원 2019-10-02 5121 103
11318 내게 2억2천3백만원 강탈해간 광주약탈자들 지만원 2019-10-02 5496 275
11317 박지원에 대한 준비서면 지만원 2019-10-02 5020 189
11316 우리가 알아야 할 일본인 이름 둘 지만원 2019-10-02 5509 278
11315 지만원tv, 제119화, 5.18성역 붕괴됐다 지만원 2019-10-01 5385 106
11314 프롤로그 (곧 발간될 조선과 일본) 지만원 2019-10-01 5333 227
11313 지만원tv, 제118화, 빨갱이식 역사왜곡 지만원 2019-09-30 5252 106
11312 10월의 재판일정 지만원 2019-09-30 4644 134
11311 [의병뉴스]구국각오 삭발 200인 헌시 (박필규, 김명희) (… 제주훈장 2019-09-29 5012 142
11310 지만원 박사님 힘내세요 우리가 반드시 이깁니다. (김성웅 목사 거… 제주훈장 2019-09-28 5145 240
11309 일제시대 말기 희귀사진 (1945년으로 추정) 해방 직후 조선인들… 댓글(1) 코리아퍼스트 2019-09-28 6056 260
11308 [9.28새벽 2시] 이젠 준비할 때 [지만원] 제주훈장 2019-09-28 5483 181
11307 일본은 한글을 말살하려 했는가? 지만원 2019-09-28 5787 190
열람중 훈민정음은 [세종], 단어의 아버지는 [후쿠자와 유키치] 지만원 2019-09-28 7373 120
11305 이젠 준비할 때[시} 지만원 2019-09-28 4962 198
11304 지만원tv 제117화 조선말 말살 유언비어 지만원 2019-09-27 5277 90
11303 일본의 자존심과 한일병합 지만원 2019-09-27 5461 243
11302 지만원의 박사논문집 전체 보기 지만원 2019-09-26 4844 136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