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레이건 회담내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만원 작성일25-09-28 14:21 조회5,42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1981.2.2., 전두환-레이건 회담내용 요약문(2급비밀)
비밀이 해제된 미 정부 문서를 미국에 계시는 Zosima님이 보내주셨고, 이를 stalon님이 번역해 오셨습니다. 1981년 전두환-레이건 대통령 사이에 이루어진 정상회담 내용을 녹취한 것이 아니라 브리핑 식으로 요약한 문서입니다. 실제 대담 내용은 [전두환 리더십]에 잘 나와 있습니다. 역사 자료이기 때문에 그리고, 전두환 리더십에 소개된 바 이 대화록을 사실로 뒷받침하고 있어서 이를 역사자료로 소개합니다. 이 메모랜덤의 마지막 부분에 일본의 방위비 무임승차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이 나카소네 일본 수상으로부터 40억 달러를 받은 사실에 대해 그 어느 매체도 특필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주 최근(요사이) 일부 얼론들이 “그 40억 달러는 전두환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일본이 스스로 가져온 돈”이라는 요설을 내놨다. 그 어느 누가 미쳤다고 달라지않고 압력 없는 상태에서 40억 달러를 스스로 가져온다는 말인가? 2012.5..8에 최보식 기자가 그의 홈페이지를 통해 내놓은 기사가 사실에 가까운 내용이다.
https://www.bosik.kr/news/articleView.html?idxno=4037
-----------------------------------------------
[전두환 리더십 내용]
“각하, 세계 정상들 중에서 본인을 가장 먼저 만나주신 것은 본인에게 크나큰 영광입니다. 각하께서 미합중국 대통령으로 취임하시게 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감사합니다 전두환대통령 각하. 먼 길 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각하, 저는 각하를 도와드리고 싶어 뵙기를 청하였습니다.”
이 엉뚱한 말에 회담장에 있는 미국사람들은 물론 동행했던 참모진과 장관들 모두가 놀라고 긴장했다. 모두의 눈이 휘둥그래졌다. 이제까지 한국 대통령이 미국대통령을 만나면 원조액수를 늘려 달라, 신형 전투기를 사게 해달라는 등 아쉬운 말부터 했는데, 그런 한국이 무엇을 가지고 미국을 도와주겠다는 것인가? 회담공간에 숨소리조차 멎었다.“
”각하, 죄송한 질문이지만 미국 캘리포니아 주 연간 GNP가 얼마인지 아십니까?“ 정상회담에 어울리지 않는 뜬금없는 질문이었다. 하지만 질문에 대한 답은 레이건도 모르고, 그 자리의 그 누구도 알지 못했다. 또다시 장내는 고요하게 얼어붙었다.
”각하, 제가 알아봤더니 연간 800억달러입니다. 그럼 대한민국의 연간 GNP가 얼마인지 아십니까?“
또다시 조용해졌다.
”600억달러입니다.“
모두가 놀랍다는 듯 입을 동그랗게 벌렸다. 한국의 GNP가 미국의 1개주의 것보다 적다니!
”그럼 일본의 연간 GNP는 얼마인지 아십니까?“
아무도 몰랐다.
”1조 1,600억달러, 한국GNP의 20배입니다.“
”각하, 대한민국은 자유진영의 최일선에서 이 보잘 것 없는 GNP에서 매년 6%를 떼어내 공산세력과 싸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가 거의 파탄날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반면 부자나라 일본은 GNP의 0.09%만 떼어내 방위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분명 땀을 흘리는 대한민국의 그늘에서 무임승차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공정하지 않습니다. 저는 미국의 돈을 달라하지 않습니다. 일본 돈을 제게 주십시오. 그러면 그 돈으로 저는 미국으로부터 전투기도 사고 탱크를 사겠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의 얼굴에 희색이 돌았다. 신선한 충격을 느낀 것이다.
”전두환 대통령 각하, 얼마가 필요하신가요?“
”일단 일본에 각하의 뜻만 알려주십시오. 액수는 실무선에서 해결하겠습니다.“
이 말에 가장 놀란 사람들은 대통령을 수행한 참모진과 장관들이었다. 자기들로서는 꿈에도 상상할 수 없는 돈키호테식 발상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내 자기들끼리 너무 엉뚱하다며 수근들 댔다. 그후 2개월이 지났다. 1981년 4월22일, 전두환은 외무라인을 통해 일본 스즈키 수상에게 100억달러 청구서를 보냈다. 일본측 역시 경기를 일으켰다.
”뭐라고? 100억달러? 동그라미가 하나 더 붙은거 아냐? 10억달러라 해도 너무 무례하지, 도대체 근거가 뭐야? 무례가 지나치구먼. 대꾸도 하지마“
전두환 주변에서도 전두환은 매우 엉뚱하고 이상한 사람이라고 수근댔다. 국제망신이라고까지 했다. 이듬해인 1982년 1월 27일에 ’나카소네‘가 수상에 올랐다. 나카소네는 관례에 따라 서둘러 레이건 대통령을 만나러갔다. 그리고 1년 후인 1983년 1월 11일, 나카소네가 한일 정상회담을 제안해 한국을 방문하여 두 차례에 걸쳐 정상회담을 했다.
”전두환 대통령 각하, 그동안 일본은 사실 한국에 대해 미안한 입장에 있었습니다. 제가 최소한 60억달러 정도를 마련해보려고 백방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60억달러를 마련하려면 제 위치가 흔들릴 수 있어서 최대한으로 마련한 것이 40억달러입니다. 이 돈을 수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981년 2월 2일 오후 11시 20분 - 12시 5분, 내각 회의실
MEMORANDUM OF CONVERSATION
SUBJECT : Summary of the President's Meeting with President Chun Doo Hwan of the Republic of Korea
Participants: President Ronald Reagan Vice President George Bush Secretary of State Alexander Haig, Secretary of DefenseCasparWeinberger Counsellor Edwin Meese
Chief of Staff James Baker
Deputy Chief of Staff Michael Deaver Assistant to the President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Richard Allen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Bill Brock Assistant to the President and Press
Secretary James Brady
U.S. Ambassador to Korea William Gleysteen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East
Asian Affairs-designate John Holdridge NSC Staff Member Donald Gregg (Notetaker)
State Department Officer Douglas McNeal (Interpreter)
President Chun Doo Hwan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Economic Planning Byong Hyun Shin
Foreign Minister Shin Yong Lho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Yong Shik Kirn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Yong Bock Choo Secretary General to the President
Kyung Won Kim
Assistant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o-rnyung Gong
Senior Protocol Secretary of the President Pyoung Hoon Kirn (Interpreter)
TIME AND PLACE: February 2, 1981
11:20 - 12:05 P.M., Cabinet Room
회담 내용
제목: 레이건 대통령과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과의 회담 요약
참석자: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조지 부시 부통령, 알렉산더 헤이그 국무장관, 카스파 와인버거 국방장관, 에드윈 미스 법무관, 제임스 베이커 비서실, 마이클 디버 비서실차장, 대통령 국가안보보좌관리처드 앨런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빌 브록, 대통령 및 언론보좌관제임스 브래디,윌리엄 글라이스틴 주한 미국 대사, 존 홀드리지 동아시아 담당 국무부 차관보 내정자, 국가안보회의(NSC) 직원 도널드 그레그(기록담당)더글러스 맥닐 국무부 관리(통역 담당),
전두환 대통령, 신경현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노신영 외교부 장관, 김용식 주미 대사, 주영복 국방부 장관, 김경원 대통령 비서실장, 공노령 외무차관, 대통령 의전비서관 김병훈 (통역)
시간 및 장소: 1981년 2월 2일 오후 11시 20분 - 12시 5분, 내각 회의실
President Reagansaid that a brief meeting had been held in the Oval Office, where greetings had been exchanged and substantive discussions started. The President stated that the visit of President Chun was an opportunity to reaffirm Korean/American friendship, to restore the alliance, and to symbolize our strong interests in the Pacific region as a whole. The President stated that he wanted to make plain that it would not be a policy of his administration to suggest that any American troops be pulled out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President stated "we are committed to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President Chun replied in English "Thank you very much."
레이건 대통령은 전두환 대통령과 오벌오피스에서 상호 인사를 나누고 간단한 대화를 나눈 후 실질적인 대화가 시작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은 전두환 대통령의 방문이 한미 우호 관계를 재확인하고, 동맹을 회복하며, 태평양 지역 전체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관심사를 상징하는 기회라고 말했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주한미군 철수를 제안하는 것이 그의 행정부 정책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대통령은 "우리는 대한민국의 안보에 전념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영어로 "대단히 감사합니다."라고 답했습니다.
President Reaganstated that he wanted to resume the full range of consultative meetings which had previously been suspended and that a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should be held sometime in 1981, with details to be worked out by the two defense ministers.
The Presidentalso said that he supported President Chun's recent call for reciprocal visi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President added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include the ROK in any meetings held with North Korea, and that the U.S. would not move unilaterally. As he put it, "If we go, we will go side by side." President Reagan then asked for President Chun's views on the military, political, and security situations.
레이건 대통령은 종전에 중단되었던 모든 협의회를 재가동하고, 1981년 어느 시점에 안보협의회의(SCM)를 개최할 것이며, 세부 사항은 양국의 국방장관들이 협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또한 전두환 대통령이 최근 남북한 상호 방문을 촉구한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미국은 북한과의 모든 회담에 대한민국을 참여시킬 것이며, 북한과의 일방적인 회담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우리가 간다면, 우리는 나란히 같이 갈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레이건 대통령은 군사, 정치, 안보 상황에 대한 전두환 대통령의 견해를 물었습니다.
President Chun responded by thanking President Reagan for his welcome words with regard to keeping U.S. troops in Korea and scheduling an SCM. President Chun said "I take your words as a gift, and they will allow me to return home with an easy mind." President Chun stated that ROK security involves the military balance in all of Northeast Asia. He noted that the Soviets have 46 divisions in the area and that the United States has had to send units of the 7th Fleet to the Indian Ocean in response to hostilities in the Persian Gulf. President Chun stated that a "gap" in Northeast Asia has resulted, and that miscalculations on the part of North Korea or the Soviet Union might result.
Turning to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Chun noted that North Korea has 730,000 troops while the South has only 610,000. He added that in terms of aircraft, artillery, tanks and ships North Korea was also ahead by roughly a two to-one ratio. President Chun added that presence of U.S. troops on the Peninsula help to correct the balance and stated confidently that the ROK, with U.S. support, could stop any North Korean adventurism.
전두환 대통령은 레이건 대통령의 주한미군 유지 및 SCM 일정 수립에 대한 환영사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전 대통령은 "대통령님의 말씀을 선물로 받아들이겠습니다. 덕분에 편안한 마음으로 귀국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는 동북아시아 전체의 군사적 균형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소련이 이 지역에 46개 사단을 주둔시키고 있으며, 미국은 페르시아만에서의 적대 행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7함대 부대를 인도양으로 파견해야 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전 대통령은 동북아시아에 "격차"가 발생했으며, 북한이나 소련의 오판이 초래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반도 문제로 돌아와 전 대통령은 북한의 병력이 73만 명인 반면 남한은 61만 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항공기, 포병, 전차, 함선 등 전력 면에서도 북한이 약 2대 1의 비율로 앞서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미군의 한반도 주둔이 균형을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이며, 미국의 지원을 받는 한국은 북한의 어떠한 모험주의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 있게 언급하였습니다.
President Chunstressed the need for continued economic growth as the basis for expansion of ROK military forces. He stated that he wanted to have more than five million men in the Korean reserve forces. Chun stated that with continued political stability, economic growth and military force expansion, the ROK could not only stop North Korean aggression but could also be a strategic asset for the United States in Northeast Asia. President Chun stated that
Korean strength could be a counterweight to Soviet forces.
전두환 대통령은 한국군 확장의 기반으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한국 예비군을 500만 명 이상 유지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지속적인 정치적 안정, 경제 성장, 그리고 군사력 확장을 통해 한국은 북한의 침략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의 전략적 자산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한국의 힘이 소련군에 대한 견제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ommenting on the 39,000 U.S. troops now in Korea, President Chun stated that these troops have a strategic impact, as they cause the Soviets to keep 500,000 troops in Northeast Asia, plus naval units. President Chun said he felt that Secretary of State Haig, as a former military commander, would agree that the United States military presence in Korea acts as a stabilizing factor in all of Northeast Asia. Secretary Haig stated his full agreement with Chun's statement.
전두환 대통령은 현재 한국에 주둔 중인 39,000 명의 미군에 대해 언급하며, 이 병력이 소련이 동북아시아에 500,000 명의 병력과 해군 부대를 주둔하게 하는 전략적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헤이그 국무장관이 전직 군 사령관으로서 주한미군이 동북아시아 전체의 안정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데 동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헤이그 장관은 전두환 대통령의 발언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President Reaganstated that he was aware of the heavy economic burden that Korea was carrying in order to keep up its high level of defense spending. The President stated that the U.S. will expedite transfer of technology and weapons systems and that we will try to increase our Foreign Military Sales (FMS) credit levels. The President also stated that if Korea wanted to continue planning for the purchase of the F-16 fighter, the U.S. would proceed with the necessary notifications of the U.S. Congress.
레이건 대통령은 한국이 높은 수준의 국방비 지출을 유지하기 위해 짊어지고 있는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은 기술 및 무기 체계 이전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대외군사판매(FMS) 신용 수준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한국이 F-16 전투기 구매 계획을 계속 추진하기를 원한다면, 미국은 의회에 필요한 절차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President Chunreplied that on the military security front the ROK would continue to play its role as a strategic asset for the U.S. in Northeast Asia. Turning to the economy, President Chun stated that he was trying to develop Korean defense industries but that to do this Korea would need technological help from the United States. President Chun said that he had intended to raise the F-16 issue, as well as the need for other weapons, and stated his pleasure that President Reagan had already mentioned the subject. He stated that he was grateful for economic support of the sort mentioned, and indicated a strong Korean interest in proceeding with plans for purchase of F-16 aircraft.
전두환 대통령은 군사 안보 측면에서 한국이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의 전략적 자산으로서 역할을 계속 수행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경제 문제에 대해 전 대통령은 한국의 방위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미국의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전 대통령은 F-16 문제와 다른 무기의 필요성을 제기할 의향이 있었다고 말하며, 레이건 대통령이 이미 이 문제를 언급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언급된 종류의 경제적 지원에 감사를 표하고, F-16 전투기 구매 계획 추진에 대한 한국의 강한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Turn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his country, President Chunstated that Korea had tried to transplant American democracy across the Pacific, with only varying degrees of success. President Chun stated that President Reagan's view that each country exists under special circumstances would enable the Free World to unite more effectively behind American leadership.
전두환 대통령은 한국의 정치 상황을 언급하며 한국이 미국식 민주주의를 태평양을 건너 적용하려고 시도했지만, 그 성공 정도는 미미했다고 말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레이건 대통령의 각 국가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존재한다는 관점이 자유세계가 미국의 지도력 아래 더욱 효과적으로 단결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President Chun added that in the 1970s, several countries close to the United States had succumbed to communism. President Chun said he felt this was due in part to some lack of consistency in U.S. foreign policy. President Chun added that this era had passed, and that with the current clear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can work more closely and effectively together.
전 대통령은 1970년대에 미국과 가까웠던 몇몇 국가들이 공산주의에 굴복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전 대통령은 이러한 현상이 부분적으로는 미국 외교 정책의 일관성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 했습니다. 전 대통령은 이러한 시대는 지났으며, 레이건 행정부의 현재 명확한 정책에 따라 미국과 한국은 더욱 긴밀하고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고 덧 붙였습니다.
President Reaganresponded that he would continue his clear and consistent policies. He noted that the United States and Korea had become good trading partners and cited the fact that many of our agricultural products are sold to Korea. President Reagan acknowledged that we have economic problems of our own but that we would extend FMS credits and grain sales credits to the best of our ability.
레이건 대통령은 명확하고 일관된 정책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는 미국과 한국이 좋은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많은 농산물이 한국에 판매되고 있다는 점을 언급 했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우리도 경제적인 문제가 있음을 인정했지만, 최선을 다해 FMS 신용과 곡물 판매 신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hanging the subject, President Chun stated that Korea highly values human rights and morality and that these important matters can be effective psychological weapons against opponents who do not have similar systems or values. Chun noted that with North Korean troops as close to Seoul as Andrews Air Force Base is to Washington, and with one million men confronting each other along the DMZ, past American statements on human rights had caused some confusion in Korea. He quickly added that now the issue is clear. He assured President Reagan that the ROK would be America's partner, and that it would share America's burdens in East Asia.
화제를 바꿔, 전두환 대통령은 한국이 인권과 도덕을 매우 중시하며, 이러한 중요한 문제들이 유사한 제도나 가치를 갖지 않은 상대에게 효과적인 심리적 무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 대통령은 북한군이 서울과 워싱턴의 앤드루스 공군기지만큼 가깝고, DMZ를 따라 백만 명의 병력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 미국의 인권 관련 발언들이 한국에 혼란을 야기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제 문제가 명확해졌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레이건 대통령에게 한국이 미국의 동반자가 될 것이며,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부담을 분담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President Chunspoke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ROK and said that order and peace had been restored. He noted that the Korean people had wanted an end to turbulence and that his own administration had taken several effective measures. President Chun noted that there would be a Presidential election later in February, and tha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would follow in late March or early April. He stated that with these elections the ROK will have launched its Fifth Republic.
전두환 대통령은 한국의 정치 상황에 대해 언급하며 질서와 평화가 회복되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한국 국민들이 혼란의 종식을 원했으며, 자신의 행정부가 여러 가지 효과적인 조치를 취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2월 말에 대통령 선거가 있을 것이며, 3월 말이나 4월 초에 국회의원 선거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이 선거를 통해 한국은 제5공화국을 출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President Reaganresponded by stating his appreciation of what President Chun has done. He also stated his recognition of what the ROK accomplishes as a stabilizing factor in the Pacific Basin. President Reagan said that America will restore its own strength in Asia, and added that together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must consider the question of human rights in the proper manner. He noted that in the past it has seemed that the United States has ignored the greatest violators of human rights, most of whom are to be found behind the bamboo and iron curtains. President Reagan expressed pleasure at the reinvigoration of an alliance that we are dedicated to continue.
레이건 대통령은 전두환 대통령의 업적에 감사를 표하며 화답했습니다. 또한 한국이 태평양 지역의 안정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미국이 아시아에서 힘을 키우고 회복할 것이라고 말하며, 한국과 미국은 인권 문제를 적절한 방식으로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덧 붙였습니다. 그는 과거에 미국이 가장 심각한 인권 침해자들을 외면했던 것처럼 보였으며, 그들 대부분은 대나무와 철의 장막 뒤에 숨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협력을 지속하기 위해 헌신하는 동맹이 있어 기쁘다고 언급하였습니다.
President Reagan also mentioned Dr. Sammy Lee, a great Olympic champion of Korean decent who has worked hard to train American athletes, and stated that we are very proud of him.
레이건 대통령은 또한 미국 선수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해 온 한국계 올림픽 챔피언 새미 리 박사를 언급하며, 우리가 그를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President Chunexpressed thanks for President Reagan's views and asked if he could mention economic problems before ending for lunch. President Chun noted that in the past, thanks to U.S. aid, Korean economic growth had increased. President Chun also noted that Japan has been an economic partner of the United States and had achieved tremendous growth as a result of American aid and protection.
전두환 대통령은 레이건 대통령의 견해에 감사를 표하고, 오찬을 시작하기 전에 경제 문제에 대해 언급해도 될지 물었습니다. 전 대통령은 과거 미국의 원조 덕분에 한국의 경제 성장이 증가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일본이 미국의 경제 파트너였으며 미국의 원조와 보호 덕분에 눈부신 성장을 이루었다고 언급했습니다.
President Chun stated his hope that Japan will exert more efforts toward self-defense and urged that the Japanese consider "investing in ROK defense." President Chun suggested that the Japanese be encouraged to extend economic support to the ROK in an amount equivalent to the costs of two divisions. President Chun noted that the ROK now spends six percent of its GNP for defense, while Japan spends only .9 percent. President Chun urged that the U.S. and ROK work together to get the Japanese to do more in terms of spending for defense and to realize that U.S. and ROK forces are also protecting Japan. President Chun closed the meeting by expressing the hope that the same kind of special economic relations that the U.S. has now extended to Japan and the NATO nations might also be extended to Korea.
전 대통령은 일본이 자위권을 위해 더욱 노력하기를 희망하며, 일본이 "한국 방위를 위한 투자"를 고려해 줄 것을 강하게 피력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일본이 한국에 두 개 사단 규모에 해당하는 경제 지원을 확대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한국이 현재 GNP의 6%를 국방비로 지출하는 반면, 일본은 0.9%에 불과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전 대통령은 미국과 한국이 합심하여 일본의 국방비 지출을 늘리고, 미군과 한국군 또한 일본을 방위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하게 요구 하였습니다. 전 대통령은 미국이 현재 일본과 NATO 회원국에 확대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특별한 경제 관계가 한국에도 확대되기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표명하며 회담을 마무리했습니다.
2025.9.28 지만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