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주목받는 마크 러퍼트 주한 美대사 피습 사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Pathfinder12 작성일25-07-29 22:30 조회1,838회 댓글1건관련링크
본문
다시 주목받는 마크 러퍼트 주한美대사 피습 사건
2015년 러퍼트 주한 미 대사의 안동 방문
2015년 1월, 이재명이 성남시장으로 재직 중일 때,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경북 안동에 위치한 영명 학교를 방문했다. 공식적으로는 문화재 관람과 장애인 시설 방문이었으나, 안동에는 문화재가 많지 않았고 장애인 시설은 경기도에도 가볼만한 곳이 많다는 점에서 멀리 안동까지 간 것은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갔을 거라는 의견이 있다.
리퍼트 대사 피습 사건과의 기묘한 연결고리
리퍼트 대사의 안동 방문 불과 두 달 뒤 충격적 사건이 벌어진다. 2015년 3월 5일, 서울에서 강연을 하던 도중 리퍼트 대사는 친북 활동가 김기종(전남 강진 출신)에게 흉기 피습을 당해 얼굴과 팔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생명이 위태로울 뻔한 이 사건과 안동 방문 후의 짧은 시간 차는 단순한 우연으로 치부하기 어려운 의문을 남겼다.
10년 후 발견된 미이라 시신의 수수께끼
더욱 미스터리한 사건은 10년 후인 2025년에 벌어졌다. 안동 영명학교의 교감 선생님으로 재직했던 한 인물의 시신이 미이라(시랍화) 상태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강에 버려진 시신은 부패하기 마련이지만, 이 시신은 드럼통 안에 보관된 특수한 환경 덕분에 부패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드럼통 안에 있지 않은 이상 부패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나 놀랍게도 경찰은 범죄 혐의점이 없다고 판단한다며 사건을 종결하고 시신을 유족에게 넘겼다.
풀리지 않는 의문들
2015년의 안동 방문과 리퍼트 대사 피습, 그리고 10년 후의 미이라 시신 발견은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기묘한 연결고리를 형성한다. 이 일련의 사건들은 단순한 우연일까, 아니면 그 뒤에 숨겨진 더 큰 그림이 있는 것일까? 명확한 답은 없지만, 이 사건들은 여전히 많은 이들의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교감 선생님은 안동댐 사건과 연관
네티즌들 사이에서 떠도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교감 선생님은 안동댐 사건 당시 피해 여학생의 담임 선생님이었다고 한다. (이재명의 담임 교사가 아닌 피해 여학생의 담임 이라는 의견) 모스 탄 대사는 이재명이 안동댐 성폭행/살인 사건에 연루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기종은 이재명과 친분이 있는가?
김기종은 전남 강진 태생으로, 성균관대에서 사법고시를 준비하던 중 갑자기 포기하고 과격한 좌파 운동을 하기 시작했다. 학생 때는 미국 대사관의 성조기를 불태우기도 했고 성공회대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으며 북한에 여러 차례 다녀왔다고 한다. 이재명과 개인적인 접점은 없는 것 같으며, 그의 좌익 활동이 이상하게도 나무위키에 상당히 자세하게 기술돼 있다. (과장을 보탠다면 공적 조서 같다) 주한 일본 대사에게 벽돌을 던진 경력이 있으며(당시 집행유예) 그 후 주한 미국 대사인 러퍼드 대사에게도 테러를 가한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이재명과의 친분 보다는 누군가의 지시를 받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과 조폭과의 친분이 의심 돼
2025년 7월 광화문 인근 식당에 방문한 이재명을 보면, 대통령이 된 후에도 조폭과의 관계를 끊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옆 테이블에 보면 덩치 크고 문신한 남자들이 앉아 있다. 왜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할까?
댓글목록
inf247661님의 댓글
inf247661 작성일부괴 땅엔 도대체 갈 일이 뭐였었더냐, 또 무슨 돈으로? ?? ?!! ,,. 모조리 곧장 쥑여야! /// 늘 긴박감있는 글 내용에 고맙읍니! //// 推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