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예비역2 작성일11-01-10 00:59 조회1,83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에서
"김달삼, 제주, 제주도, 4.3, 인민봉기, 4.3인민봉기, 제주도 4.3인민봉기" 등으로 검색한 결과를 "퍼온글"로 옮겼고 관리자님께서 옮기는 것을 도와주셨습니다.
목차만 봐서는 "6.25 한국전쟁, 막을 수 있었다 (상) / 이선교 저."의 "제7장 한국전 발발의 원인 제주남로당 4.3폭동"이 제주 4.3 사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기에 가장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자료보다는 북한 자료가 제주 4.3사건에 대한 책을 쓰실 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링크주소가 김달삼것만 나오게 잘못 복사됐네요. 죄송합니다.
----------------------------------------------------------------------------------------
[한글]제1장 조선공산당 창건
1. 초기 공산당과 박헌영
2. 공산당 급성장
3. 공산장의 시련
제2장 해방과 분단과 조선공산단 제건
1. 조선총독부와 여운형의 회담
2. 38선 분단의 원인
3. 조선공산당 재건
4. 조선인민공화국
5. 미군 한반도 상륙과 일본의 항복 조인
제3장 좌.우 분열
1. 이승만의 귀국
2. 임시정부 김구 주석 귀국
3. 좌.우 분열
4. 신탁통치 찬.반 분열
5. 반탁과 찬탁의 치열한 싸움
제4장 한반도 비극의 원인
1. 남로당 위조지폐사건
2. 장안파, 박헌영을 집중 공격
3. 박헌영 북으로 탈출
4. 박헌영의 투쟁노선 변경과 노동자 파업
제5장 대구 폭동
1. 대구 폭동의 원인
2. 대구경찰서 점령되다
3. 대구 폭동 경북 전역으로 번짐
4. 대구 폭동의 진압과 결과
제6장 좌파 3당 합당과 개혁
1. 좌파 3당 합당
2. 여운형의 죽음
3. 한심한 개혁
4. 한민당의 역할
제7장 한국전 발발의 원인 제주남로당 4.3폭동
1. 3.1 발포사건
2. 남로당 5.10선거 반대 2.7폭동
3. 제주남로당 5.10선거 반대 4.3폭동
4. 제주남로당 5.10선거 반대 4.3폭동
5. 제주 9연대장 김익렬 제주 4.3폭독 진압 미온적 태도
6. 김익렬과 김달삼의 평화협상
7. 남로당이 5.10선거를 반대하지 않았으면 김삼룡이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
8. 박진경 9연대장의 군.경 합동 진압작전
9. 박진경 9연대장의 진압 때 인민유격대의 공격
10. 9연대 장병 탈영과 박진경 연대장의 피살
11. 제주도민 북한의 8.25선거 참여
12. 이덕구의 제2폭동 9.15사건
13. 제주도 진압사령부 신설
14. 제주도 적화 음모사건
15. 계엄령 선포
16. 9연대, 2연대로 교체
17. 북촌마을 사건
18. 진압군 총 동원
19. 폭도들의 몰락
20. 제주도 진압사령부 보강
21. 제주도 인민유격대 사령관 이덕구의 죽음
22. 제주남로당 4.3폭동의 결과
제8장 국방경비대 창설
1. 해방과 군사단체
2. 군사단체 해산
3. 남로당의 군부 공작
4. 경비대 창설
제9장 한국전 발발 원인 여수 14연대 반란
1. 14연대 발란의 원인
2. 14연대 발란군 여수 점령
3. 14연대 반란군 순천 점령
4. 14연대 반란군 작전
5. 14연대 반란 진압작전
6. 진압군 12연대 대패
7. 반란군 대패
8. 국군 연속 반란, 국가 위기에 처함
9. 국군 안의 남로당원 숙청
10. 춘천의 8연대 2개 대대 월북
11. 14연대 반란군 사령관 김지회의 죽음
12. 14연대 발란의 피해와 결과
제10장 박헌영의 부장폭동 지령
1. 박헌영의 서울 무장 폭동 지령과 준비
2. 해주 남로당 인민유격대 10차에 걸쳐 남파
3. 지리산 남로당 인민유격대 활동
4. 남로당 간부 김삼룡, 이주하, 김수임, 정백, 간첩 성시백 체포
제11장 김일성의 대남 공격 준비
1. 김일성의 적화통일 노선
2. 소련 스탈린에게 남침 군원지원 요청
3. 중공 모택동에게 남침 인력 요청
4. 소련에 남침 군원지원 재차 요청
5. 북한에 유리한 정세
6. 대남 공격, 스탈린의 동의
7. 모택동의 동의
8. 남한 적화통일 계획서
제12장 이승만의 북진통일
1. 이승만의 북진통일
2. 미군 철수 후 한반도 정책
3. 북한의 남침 정보 묵살
제13장 김일성 대남 공격준비 완료
1. 모란봉회의
2. 북한의 위장 평화통일 주장
3. 조선인민군 대남 공격을 위한 부대이동
4. 인민군 남침 1차 작전계획
제14장 육군참모총장 채병덕 소장의 간첩행위
1. 채병덕 소장의 인민군 남침의 정보 묵살
2. 채병덕 참모총장의 간첩행위
제15장 조선인민군 남침 1차 작전(서울 점령 목표)
1. 조선인민군 38선을 넘어 전면남침
2. 잘 방어한 강릉 국군 8사단
3. 잘 방어 중인 원주 국군 6사단
4. 6월 25일 웅진반도에서 철수한 국군 17연대
5. 반격 중인 문산 국군 1사단
6. 잘 방어한 동두천 국군 7사단 1연대
7. 국군 붕괴의 원인 포천 9연대
8. 6월 26일 아침 채병덕 총장의 반격 명령 3개사단 붕괴
9. 의정부 호원동 백석천교에서 국군 25연대 대승
10. 6월 27일 인민군 창동 점령
11. 6월 28일 미아리고개 전투
12. 육군참모총장 채병덕의 간첩행위
13. 50년 6월 28일 오후 3시 유엔 안보리회의 제2차 회의에서 16개국 참가 결정
14. 인민군 서울점령 3일동안 남로당 폭동을 기다림
제16장 조선인민군 2차 작전(한강 도강 목표)
1. 50년 7월 1일 인민군 한강 도강 전투
2. 7월 2일 채병덕의 역습 명령으로 노량진전투 참패
3. 7월 3일 인민군 4사단 한강 도강
4. 6월 30일 대전형무소 사건
5. 6월 30일 국군 6사단 원주 철수
6. 국군 8사단 대관령 철수
7. 국군 3사단 삼척 방어
8. 7월 4일 인민군 안양, 수원 점령
9. 7월 5일 오산 죽미령에서 인민군과 미군 첫 전투
10. 7월 6일 인민군 4사단 평택 점령
11. 7월 7일 인민군 4사단 천안 점령
12. 7월 9일 인민군 4사단 전의 점령
13. 7월 12일 인민군 3사단 조치원 점령
14. 7월 14일 인민군 4사단 공주 점령
15. 7월 16일 인민군 3사단 대평리 점령
[영문]
"김달삼, 제주, 제주도, 4.3, 인민봉기, 4.3인민봉기, 제주도 4.3인민봉기" 등으로 검색한 결과를 "퍼온글"로 옮겼고 관리자님께서 옮기는 것을 도와주셨습니다.
목차만 봐서는 "6.25 한국전쟁, 막을 수 있었다 (상) / 이선교 저."의 "제7장 한국전 발발의 원인 제주남로당 4.3폭동"이 제주 4.3 사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기에 가장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자료보다는 북한 자료가 제주 4.3사건에 대한 책을 쓰실 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링크주소가 김달삼것만 나오게 잘못 복사됐네요. 죄송합니다.
----------------------------------------------------------------------------------------
청구기호 | 911.0723 이53ㅇ |
개인저자 | 이선교 |
서명저자사항 | 6.25 한국전쟁, 막을 수 있었다 (상) / 이선교 저. |
판사항 | 01판 |
발행사항 | 서울 : 빛된삶 , 2007. |
[한글]제1장 조선공산당 창건
1. 초기 공산당과 박헌영
2. 공산당 급성장
3. 공산장의 시련
제2장 해방과 분단과 조선공산단 제건
1. 조선총독부와 여운형의 회담
2. 38선 분단의 원인
3. 조선공산당 재건
4. 조선인민공화국
5. 미군 한반도 상륙과 일본의 항복 조인
제3장 좌.우 분열
1. 이승만의 귀국
2. 임시정부 김구 주석 귀국
3. 좌.우 분열
4. 신탁통치 찬.반 분열
5. 반탁과 찬탁의 치열한 싸움
제4장 한반도 비극의 원인
1. 남로당 위조지폐사건
2. 장안파, 박헌영을 집중 공격
3. 박헌영 북으로 탈출
4. 박헌영의 투쟁노선 변경과 노동자 파업
제5장 대구 폭동
1. 대구 폭동의 원인
2. 대구경찰서 점령되다
3. 대구 폭동 경북 전역으로 번짐
4. 대구 폭동의 진압과 결과
제6장 좌파 3당 합당과 개혁
1. 좌파 3당 합당
2. 여운형의 죽음
3. 한심한 개혁
4. 한민당의 역할
제7장 한국전 발발의 원인 제주남로당 4.3폭동
1. 3.1 발포사건
2. 남로당 5.10선거 반대 2.7폭동
3. 제주남로당 5.10선거 반대 4.3폭동
4. 제주남로당 5.10선거 반대 4.3폭동
5. 제주 9연대장 김익렬 제주 4.3폭독 진압 미온적 태도
6. 김익렬과 김달삼의 평화협상
7. 남로당이 5.10선거를 반대하지 않았으면 김삼룡이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
8. 박진경 9연대장의 군.경 합동 진압작전
9. 박진경 9연대장의 진압 때 인민유격대의 공격
10. 9연대 장병 탈영과 박진경 연대장의 피살
11. 제주도민 북한의 8.25선거 참여
12. 이덕구의 제2폭동 9.15사건
13. 제주도 진압사령부 신설
14. 제주도 적화 음모사건
15. 계엄령 선포
16. 9연대, 2연대로 교체
17. 북촌마을 사건
18. 진압군 총 동원
19. 폭도들의 몰락
20. 제주도 진압사령부 보강
21. 제주도 인민유격대 사령관 이덕구의 죽음
22. 제주남로당 4.3폭동의 결과
제8장 국방경비대 창설
1. 해방과 군사단체
2. 군사단체 해산
3. 남로당의 군부 공작
4. 경비대 창설
제9장 한국전 발발 원인 여수 14연대 반란
1. 14연대 발란의 원인
2. 14연대 발란군 여수 점령
3. 14연대 반란군 순천 점령
4. 14연대 반란군 작전
5. 14연대 반란 진압작전
6. 진압군 12연대 대패
7. 반란군 대패
8. 국군 연속 반란, 국가 위기에 처함
9. 국군 안의 남로당원 숙청
10. 춘천의 8연대 2개 대대 월북
11. 14연대 반란군 사령관 김지회의 죽음
12. 14연대 발란의 피해와 결과
제10장 박헌영의 부장폭동 지령
1. 박헌영의 서울 무장 폭동 지령과 준비
2. 해주 남로당 인민유격대 10차에 걸쳐 남파
3. 지리산 남로당 인민유격대 활동
4. 남로당 간부 김삼룡, 이주하, 김수임, 정백, 간첩 성시백 체포
제11장 김일성의 대남 공격 준비
1. 김일성의 적화통일 노선
2. 소련 스탈린에게 남침 군원지원 요청
3. 중공 모택동에게 남침 인력 요청
4. 소련에 남침 군원지원 재차 요청
5. 북한에 유리한 정세
6. 대남 공격, 스탈린의 동의
7. 모택동의 동의
8. 남한 적화통일 계획서
제12장 이승만의 북진통일
1. 이승만의 북진통일
2. 미군 철수 후 한반도 정책
3. 북한의 남침 정보 묵살
제13장 김일성 대남 공격준비 완료
1. 모란봉회의
2. 북한의 위장 평화통일 주장
3. 조선인민군 대남 공격을 위한 부대이동
4. 인민군 남침 1차 작전계획
제14장 육군참모총장 채병덕 소장의 간첩행위
1. 채병덕 소장의 인민군 남침의 정보 묵살
2. 채병덕 참모총장의 간첩행위
제15장 조선인민군 남침 1차 작전(서울 점령 목표)
1. 조선인민군 38선을 넘어 전면남침
2. 잘 방어한 강릉 국군 8사단
3. 잘 방어 중인 원주 국군 6사단
4. 6월 25일 웅진반도에서 철수한 국군 17연대
5. 반격 중인 문산 국군 1사단
6. 잘 방어한 동두천 국군 7사단 1연대
7. 국군 붕괴의 원인 포천 9연대
8. 6월 26일 아침 채병덕 총장의 반격 명령 3개사단 붕괴
9. 의정부 호원동 백석천교에서 국군 25연대 대승
10. 6월 27일 인민군 창동 점령
11. 6월 28일 미아리고개 전투
12. 육군참모총장 채병덕의 간첩행위
13. 50년 6월 28일 오후 3시 유엔 안보리회의 제2차 회의에서 16개국 참가 결정
14. 인민군 서울점령 3일동안 남로당 폭동을 기다림
제16장 조선인민군 2차 작전(한강 도강 목표)
1. 50년 7월 1일 인민군 한강 도강 전투
2. 7월 2일 채병덕의 역습 명령으로 노량진전투 참패
3. 7월 3일 인민군 4사단 한강 도강
4. 6월 30일 대전형무소 사건
5. 6월 30일 국군 6사단 원주 철수
6. 국군 8사단 대관령 철수
7. 국군 3사단 삼척 방어
8. 7월 4일 인민군 안양, 수원 점령
9. 7월 5일 오산 죽미령에서 인민군과 미군 첫 전투
10. 7월 6일 인민군 4사단 평택 점령
11. 7월 7일 인민군 4사단 천안 점령
12. 7월 9일 인민군 4사단 전의 점령
13. 7월 12일 인민군 3사단 조치원 점령
14. 7월 14일 인민군 4사단 공주 점령
15. 7월 16일 인민군 3사단 대평리 점령
[영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