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농정 중심에는 콩 증산 대책이 도사리고 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발해의꿈 작성일10-09-06 10:53 조회2,282회 댓글2건관련링크
본문
일본 농정 중심에는 콩 증산 대책이 도사리고 있다
渤 海 人
(2010. 9. 6.)
일본은 한국보다 인구는 2.5배 많고 농지는 2.7배 많다. 그런데 콩 수입은 한국의 2배이다. 반면 1인당 콩 소비량은 비슷하다. 일본의 낫또 소비량이 우리의 된장 소비량보다 많은 대신 우리는 콩나물 소비가 많다. 한편 찹쌀떡의 팥소(앙꼬)가 되는 팥 수요는 한국의 8배가 된다. 일본은 식용 콩 자급율이 40%에 육박했고, 한국은 30%가 넘었다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수입콩(사료용 또는 착유용)이 산지로 내려가 국산콩과 혼합되어 수매되는 경우가 여러 차례 적발되는 것으로 보아 한국 통계에 의심이 간다.
● 콩 농사 증산왕 수상을 부활시키다
최근 일본이 콩자급율을 농정 최우선으로 채택하는 이유는 중국이 갑자기 콩수입 국가로 돌변하면서 얄팍한 세계 교역량(약5천∼6천7백만톤)의 80%를 싹쓸이 해가는(2009년) 바람에 큰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금년(2010년)에도 남반부(브라질 등 적도 이남지역) 콩농사가 대흉작이고, 바이오디젤유 생산으로 자칫하면 부족분의 수입도 불가할 것으로 판단되어 콩 생산농가 포상제도를 대대적으로 공고하게 되었다. 이에 앞서 3년 전부터 자급율 향상에 앞장선 홋카이도 도지사의 공적도 있지만 지금은 농림성 장관 포상으로 권위를 높였고 금년 가을 우수생산량 평가는 총리 포상으로 승급될 예정이다.
과거 한국도 1970년대 새마을운동 시절 정신교육인 근면ㆍ자조ㆍ협동에 투철한 지도자에게 훈장수여가 있었고, 증산왕이라 하여 쌀ㆍ보리ㆍ콩 생산농가에도 산업훈장 수여가 있었다. 이때는 생산원가는 무시하고 무조건 절대성 평가인 다수확이 시상기준이었다.
그러나 일본은 경영위주다. 다수확도 중요하지만 경영의 효율성, 즉 저렴한 비용으로 다수확과 지역사회의 공로를 참작한다. 한국도 식용콩 자급을 위해서는 꼭 본 받아야 할 것 같다.
(재)국제농업개발원과 연해주에서 ‘和牛(흑모 및 적모)’ 종자소 개량에 공조하고 있는 일본 오사카 경법대학과 긴키대학의 교수와 연구진들은 “해외농지개발에 있어서 한국만큼 축복받은 나라가 없다”라는 뚱딴지 같은 소리를 한다. 그것이 무슨 소리냐는 질문에 “콩 원산지인 연해주 땅을 무려 15만ha를 확보하였으니 그곳에서 콩과 사료를 충당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 않느냐”고 하였다.
이것의 응답으로 “당신들은 브라질의 세라토 프로젝트 지역(마토그로소주)에 있는 것만해도 1,700만ha가 있지 않느냐”는 반문을 하였고, 그들은 “식용콩은 포스트하비스트(수확후 농약처리)가 없어야 하는데 파나마운하 또는 남반부를 돌아오면 40일 이상 소요되어 부패가 심하다. 그나마 요즘은 칠레 아레카港을 이용하여 18일이 걸린다”고 하소연 하면서 “작년에 짧은 콩나물(2∼3cm내외의 길이)용은 비행기로 수송했다”고 말했다.
● 콩 증산대책의 핵심은 남아도는 논을 콩밭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일본은 두만강의 유래를 알고 있다. 발해(渤海)국 전성기인 AD 700∼800년사이 지금의 중국 연변과 러시아 연해주의 콩과 한약재가 일본 나라(奈良)국(에도막부 이전의 일본국가)에 수차례 수출된 역사뿐만 아니라, 두만강은 콩이 가득 찬 선박을 일본에 보냈기 때문에 두만강(豆滿江)이라는 사실과, 이 콩을 당시 일본 최대의 절인 동대사(東大寺, 현재 나라市에 소재) 스님들이 발효음식인 낫토(納豆)를 만들어 먹었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특히 이곳의 콩을 신성화 하는 것도 역사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의 콩 증산대책에는
① 논을 밭으로 만들어 콩을 심고,
② 논ㆍ밭갈이를 하지 않는 불경운 재배와
③ 65세 이상의 노령자 농민을 위한 콩 농사 위탁재배기술 전수와
④ 집락부락 공동 영농회사 지원 등이다.
한편, 중국은 GMO콩으로 두부도 만들고 콩나물도 생산한다. 한국은 겉으로는 안하고 속으로는 한다. 왜냐하면 착유용콩이 식용콩으로 둔갑하는 경우가 있으니까. 일본은 한국보다 철저하다.
좌우간 우리는 일본 정부가 한국보다 해외농지도 많은데 왜 갑자기 콩 증산 대책에 올인하는지 깊은 검토가 필요하다.
댓글목록
김종오님의 댓글
김종오 작성일
'아나톨리 李' 박사님!
콩농사가 그렇게도 중요하다니 놀랍습니다. 다움 불로그에서 위의 '콩 농사' 관련글을 따로 또 읽었습니다.
두만강(豆滿江)이, 그 많은 글자 가운데 하필이면 왜 '콩두(豆)'자에 '가득할 만(滿)'자를 써서 강이름을 지었을까? 혹 중국의 동북 3성땅에서 '콩(豆)'농사를 많이하고 또 그곳을 '만주'라 했으니 그 만(滿)를 합해서 두만(豆滿)이라 하지 않았을까 하는 내 생각에다, 아니라면 도문(圖們)의 중국식 발음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했던 내 생각이 '아나톨리 李' 박사님의 글로 인해 묵사발이 되고 말았습니다.
심심도사님의 댓글
심심도사 작성일
농업통계를 보다가 의원 면직한 사람으로서
댓글로 올려 드립니다.
10여년 전까지는 그럭저럭 생통(생산량통계)를 봐 왔기에....
맞다고 감히 말씀 드릴 수 있겠으나...
지금은 그 통계가 경제기획원 통계(경통) 쪽으로 넘어갔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로는 제가 틀림이 없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리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뿐만아니라 경제기획원으로 넘어간 후로는 아는 바가 없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