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자력의 운명 > 최근글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최근글 목록

한국 원자력의 운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만원 작성일10-02-13 17:44 조회26,123회 댓글0건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본문

                      한국 원자력의 운명 

2월12일,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미국대사가 한국 원자력 발전의 병목현상에 대해 막연하나마 희망적인 발언을 했다. 2014년에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이 한국의 희망(aspirations)과 핵확산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 사이에 합의점을 찾는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라는 발언인 것이다. 

한·미 원자력 협정은 1956년 체결돼 73년 재개정됐고 2014년 3월 종료된다. 현재 한국의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국가과제는 ‘사용후 핵연료’(고준위 핵폐기물) 처리문제다. 한국에는 국내 원전에서 발생한 ‘사용후 핵연료’가 지난 2008년 현재 1만1백여t에 달하고, 오는 2016년에는 저장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며 세기말에는 사용후 핵연료가 무려 11만t이 넘어,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원자력 강국은커녕 기존 원자로의 폐쇄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한다.  

사용후핵연료에는 타지 않고 남아 있는 우라늄이 94%나 된다. 이를 재활용을 하게 되면 쓰레기의 분량은 6% 수준으로 줄어든다. 94%의 우라늄은 재사용하고 6%의 재만 처리하면 된다는 의미다. 따라서 94%의 자원을 재사용하는 측면에서나 핵쓰레기의 양을 6% 수준으로 줄이는 측면에서나 우리는 반드시 이번 협정의 개정 기회를 죽기 살기 식으로 활용해야 한다.  

시급한 것은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하거나 재활용을 해서 핵연료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핵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재처리를 일본 정도 수준에서 할 경우 핵폐기물 처분장의 면적이 1백분의 1로 줄어들고, 처분장 관리기간도 1천분의 1로 줄어든다 한다. 따라서 2014년 한미 원자력협정 협상에서는 사용후 핵연료의 재처리 허용 문제가 쟁점이 돼야 할 것이다. 재처리에 대한 미국의 포괄적인 승인을 얻어내는 노력이 매우 시급하다 할 것이다. 한국은 주요 원자력 국가이고,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처리가 허용된 일본, 인도, 유럽연합과 동일한 권리가 부여되지 않는 것은 분명한 차별이라 할 것이다.  

반면 미국의 입장도 존중돼야 할 근거를 가지고 있다.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하는 과정에서 핵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플루토늄이 나온다는 사실이다. 핵무장 확산을 우려하는 미국은 한반도에서 어떤 형태든 재처리를 허용하는 것이 부담이 되는 것이다. 특히 `핵무기 없는 세상'을 목표로 핵확산 방지에 초점을 두고 있는 오바마 행정부 입장에서 한국의 재처리를 허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북한 핵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라는 인식이 미국 내 비확산, 무기 통제론 자들 사이에 널리 확산돼 있다. 여기에 더해 노태우 정부는 1992년 바보 같은 짓을 했다. `남과 북은 핵재처리 시설과 우라늄농축시설을 보유하지 않는다'는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을 한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돌파구가 ‘파이로 프로세싱'이다. 한국은 건식처리 공법인 `파이로 프로세싱'이 플루토늄 등 민감한 핵 물질을 분리, 회수할 수 없는 공법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법 정도는 인정이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재처리가 아니라 핵 쓰레기의 `재활용'이며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허용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파이로프로세싱은 아직 그 기술이 연구개발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하기 때문에 미국 전문가들은 `파이로 프로세싱'이 아직 상용화 단계가 아닌 연구. 개발 수준에 있기 때문에 파이로 프로세싱이라는 구실을 악용하여 한국이 북한처럼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다고 의심한다. 이런 의심은 당연한 의심인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협정 개정에 성공할 수 있을까? 바로 지금부터 국력을 총동원하여 대미 원자력 외교에 나서야 한다. 1988년 미·일 원자력협정의 개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낸 일본의 경우 외교·통상·과학·국방 등 정부부처들이 유사 이래 처음이라 할 정도로 똘똘 뭉쳐 미국을 상대했다. 전력회사와 재계도 팔을 걷어붙이고 힘을 보탰다. 전문가에 의하면 미·일 원자력협정 협상 당시 일본 외무성 소속으로 협상에 참여했던 엔도 데쓰야(遠藤哲也) 전 뉴질랜드 대사는 미국의 의회를 움직이는 일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고 회고한다 한다.  

설사 정당한 방안이 나왔다 해도 미국의회와 한국의 특수한 국회를 통과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 우리에게는 시간이 별로 없다. 이렇게 중차대한 과업을 앞에 놓고 세종시냐, 4대강 이냐, 4대 당파 싸움을 반복하는 사람들을 보면 모두가 쪼잔해 보이고 못나 보이는 것이다. 스티븐스 대사의 호의적인 발언을 확대 해석하는 것은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공짜점심을 바라는 사람들의 허망한 꿈일 것이다.

  

2010.2.13. 지만원

http://www.systemclub.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목록

Total 14,340건 461 페이지
최근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540 5.18이 무어냐고 간단히 묻는다면? 지만원 2010-05-01 27996 179
539 금강산 16명의 의미, 지금 구출하지 않으면 인질 지만원 2010-05-01 28702 225
538 장례는 끝났지만 대한민국이 갈 길은?(소나무) 소나무 2010-04-30 18163 116
537 전교조 명단공개가 무서울 것이다 (만토스) 만토스 2010-04-30 22622 223
536 청와대에 담금질 당한 국방장관, 해도 너무 한다 지만원 2010-04-30 29834 229
535 한국교총이라는 게 겨우 이건가? 지만원 2010-04-30 24864 125
534 판사들의 전횡판결, 국민은 어찌 견디라고! 지만원 2010-04-30 24182 172
533 걸레 같은 국가 지만원 2010-04-30 24448 270
532 어쩌자고 교총은 전교조와 한편이 되는가? 지만원 2010-04-29 27415 202
531 천안함 갈팡질팡 대국민 사과해야(소나무) 소나무 2010-04-29 23710 136
530 연평해전 전사자 6명에 대한 대우를 보정해야 지만원 2010-04-29 28422 186
529 전교조와 벌이는 황산벌 결투 지만원 2010-04-28 23078 371
528 토의-연구문화는 없고 술문화만 있는 장군세계 지만원 2010-04-28 24581 236
527 군의 기형적 지휘체계 지만원 2010-04-28 23763 190
526 모래 위에 세워진 한국군 지만원 2010-04-28 22744 214
525 민주당 반역의 DNA 드러내(소나무) 소나무 2010-04-28 22502 181
524 손가락질 받는 전라도당 민주당 지만원 2010-04-27 27691 364
523 통일부엔 국가의 체통도 국민의 자존심도 없는가? 지만원 2010-04-27 28754 236
522 국가와 국민은 조기를 계양해야 지만원 2010-04-27 32877 167
521 박영선, 한국 국민인가 빨갱인가? 지만원 2010-04-27 26081 323
520 군이 총체적으로 썩었다. 썩어서 당했다. 지만원 2010-04-26 27088 341
519 천안함사태와 5.18의 동질성 지만원 2010-04-26 25673 216
518 선거전이야말로 색깔논쟁의 최적기(만토스) 만토스 2010-04-26 18816 104
517 지도자의 리더십과 국민의 신뢰(서석구) 지만원 2010-04-26 21202 93
516 황장엽의 말, 무겁게 들을게 뭔가?(소나무) 소나무 2010-04-25 19240 138
515 군은 무조건 북한 핵시설을 폭격하라 지만원 2010-04-25 25465 333
514 김동길의 안경에 먼지가 많이 끼어있다.(commonsense) commonsense 2010-04-25 24917 161
513 천안함 증거물 찾는데 돈 아끼지 말라 지만원 2010-04-24 28927 212
512 북의 재산몰수는 외국에 호소할 수도 없는 창피한 일 지만원 2010-04-24 25765 227
511 황장엽이 이끄는 ‘정치 캐러반’ 부대 지만원 2010-04-24 24623 275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