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가짜 희생자들-(4)사망자 ‘1만명설’(비바람) > 최근글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최근글 목록

<제주4.3> 가짜 희생자들-(4)사망자 ‘1만명설’(비바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바람 작성일15-01-21 23:03 조회5,989회 댓글0건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본문


<제주4.3> 가짜 희생자들

 

1. 제주4.3평화공원의 불량위패들

2. 희생자 부풀리기

3. 고무줄 희생자

4. 사망자 ‘1만명설’

5. 불량 희생자들

6. 행방불명자

7. 수형인(受刑人)

8. 탈옥수(脫獄囚)

9. 예비검속자

10. 무고한 희생자

 

 

4. 사망자 ‘1만명설(說)’

 

국회 차원의 4.3진상조사는 2000년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1960년 당시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를 할 당시에 4.3진상조사가 있었고, 이와 병행하여 제주도의회에서도 4.3진상조사가 있었다. 도의회 차원에서 벌어진 4.3진상조사는 1960년, 1993년, 1997년, 2000년에도 있었다. ‘월간관광제주’에서는 1989년 4월호에 4.3피해자 현황을 싣기도 했다.

 

위와 같이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공신력있는 조사를 하여 발표된 4.3 사망자 숫자는 대부분 1만 명 내외였다. 이는 4.3정부보고서에서 발표한 숫자와 유사한 것이었다. 3만 명이나 8만 명과는 거리가 먼 결과였다. 이런 조사결과들이 나오면서 4.3사망자 ‘1만명설(說)’은 대세가 되었다.

 

그럼에도 아직도 4.3사망자 ‘3만명설’을 부르짖는 일부 선동가들이 건재하기는 하다. 그러나 1만 명이라는 숫자에도 거품이 끼어있다. 1만여 명이라는 숫자에서 거품을 걷어내고 불량 희생자를 솎아낼 수 있다면 그때서야 4.3 사망자 숫자는 사실에 근접할 것이다.

 

1950년대에 발표된 자료 중 사망자가 1만 명 내외인 것은 ⑪번으로 1957년 제주신보에서 발표한 것이 유일했다. 이것은 어느 정도 사실에 근접했다는 사실만으로 참조할 가치가 있는 숫자다. 다만 경찰과 합동조사였기에 군경에게 당한 피해자를 일괄적으로 공비로 표현한 것은 오류이다. 이 숫자가 발표된 1957년 4월 3일은 마지막 공비 오원권이 체포된 뒷날로서, 4.3 종료 후 처음으로 발표된 피해 상황이다. 제주신보는 4월 3일을 맞이한 특집으로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피해 상황을 조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⑪ 1957년 4월 3일 제주신보 : 공비사살 7,893명. 공비에게 참살당한 양민 1,300명

     합계 9,193명

⑫ 1960년 국회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특별위원회 : 사망자 1,878명

⑬ 1989년 월간관광제주 : 공비에게 살해된 수 1,288명, 진압과정에서 살해된 수 6,750명,

     합계 8,033명

⑭ 1995년 제주도4.3피해 1차조사보고서 :

     사망 8,679명, 행불 1,041명, 형무소 행불 870명. 합계 10,581명

      (가해자 토벌대 8,909명, 무장대 1,065명, 기타 141명, 분류불능 466명)

⑮ 1997년 제주도4.3피해조사보고서-수정보완판 :

    사망 9,361명, 행불 1,346명, 형무소 행불 958명. 합계 11,665명.

    (가해자 토벌대 9,674명, 무장대 1,314명, 기타 164명, 분류불능 513명)

⑯ 2000년 제주도4.3피해조사보고서-2차수정보완판 : 합계 12,243명

⑰ 2003년 4.3위원회 백서 : 사망자 10,156명, 행불 3,718명, 후유장애자 204명,

    수형자 244명, 합계 14,322명.

 

50년대와 달리 60년대 이후 조사에서는 사망자 숫자가 1만 명 내외에서 맴도는 것을 볼 수 있다. ⑫번의 사망자 숫자 1,878명은 공비들에게 당한 숫자만을 조사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1만 명 내외에서 맴돌던 사망자 숫자가 1만 명을 훌쩍 넘어선 것은 2000년대 이후였다. 이때부터 거품이 끼기 시작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1만명설(說)’에도 권위를 부여하기는 힘들다. ‘1만명설’은 불량위패들이 유입되기 시작한 것과 때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에도 거품이 끼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60년대 이후의 조사에서는 비슷한 근사치가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위에 열거된 숫자들은 신빙성을 가지고 있음에 틀림없다. 통계가 반복될수록 수학적 근사치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위의 조사기관들이 모두 권위와 열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진실은 위의 숫자들과 가까운 곳에 있다고 할 수 있다.

60년대 이후의 조사에서 1만 명 내외에 탄착점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4.3사망자 숫자는 1만 명 내외에 어른거리는 것이 확실하다. 위의 조사에서 주목할 것은 ⑪번과 ⑬번이다.

 

⑪번의 제주신보 조사는 4.3특집으로 대대적으로 준비된 것이며, 4.3 직후의 조사이기에 기억에 의존하는 조사 특성상 사실성이 가장 농후하고, 4.3 직후의 시대적 상황 상 정치적 배경이나 생존자들이 끼어들 여지가 없었기에 가장 진실에 가까운 숫자라고 보여 진다. 그리고 이때 합동조사를 했던 경찰에서는 4.3사망자 숫자 논란을 잠재울 목적으로 호구조사를 병행하면서 어느 집에 숟가락 몇 개까지 파악할 정도로 정밀한 조사를 펼쳤다. 그래서 지금까지 나온 숫자 중 ⑪번의 숫자는 사실성과 정밀성에서 가장 신빙성이 높은 숫자이다.

 

⑬번의 ‘월간관광제주’ 조사는 개인이 조사한 것이다. 여기에 권위를 부여하는 것은 조사자의 열정과 노력이 깃든 조사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월간관광제주’ 발행인 박서동은 여섯 살의 나이에 4.3을 겪었다. 월간관광제주 1988년 10월, 11월호에는 박서동의 4.3수기 ‘어머니의 잔영은 곱게 따은 뒷머리의 하얀 가리마뿐’이 실려 있다. 사람의 심금을 울리는 이 4.3수기의 일부는 ‘대한민국 국민이 꼭 읽어야 할 제주4.3(8)’이라는 제목으로 필자가 논객넷과 시스템클럽 게시판에 옮긴 바 있다.

 

박서동은 4.3피해조사에 나서게 된 이유를, 제주도의 저명인사들이 ‘8만명설’을 주장하는 것에 분노를 느꼈고, 특히 88년 당시 KBS 심야토론에 나온 대학생이 4.3 당시 제주도민 ‘10만 명’이 피해를 당했다는 증언을 듣고 경악해서였다고 했다. 박서동은 1989년 당시 4.3유족회 총무로 있으면서 제주도내 각 부락을 직접 발로 뛰어다니며 가가호호 방문하여 진술을 들었고, 그 진술을 토대로 현장 확인과 호적부 확인을 거치면서 피해조사를 해냈다.

 

제주신보와 월간관광제주의 조사는 4.3사망자 논란을 잠재울 목적으로 책임감과 열정이 들어간 조사라는 데에서 관공서에서 시행하는 홍보용 행사로 희생자 신청을 받는 조사와는 차원이 달랐다. 더욱이 두 개의 조사에서 결과 치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두 개의 조사와 90년대에 조사된 ⑭번 ⑮번의 제주도의 조사에서도 사망자는 8천에서 9천으로 비슷한 수치가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제주4.3의 사망자 숫자는 8~9천의 근처에 있다는 것이 진실에 가깝다. 그리고 8~9천의 사망자 숫자에서 부정신고자와 불량희생자를 골라낸 다음에 나온 숫자야말로 진정으로 ‘무고한 희생자’의 숫자가 되는 것이다.

 

4.3위원회가 14년간의 접수 끝에 발표한 사망자 숫자는 10,344명, 전자와 비교하면 대략 1~2천 명 정도 차이가 난다. 이것은 거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은 희생자 신고를 안 해도 될 불량희생자들이거나, 생존자, 기타 보상을 노린 가짜 희생자들일 수도 있다. 4.3에서 사망자는 1만 명 아래이다. 그래서 사망자 ‘1만명설’이라는 것도 실상은 좌익들이 만들어낸 허상이고, 믿을 수 없는 허구이고, 선동을 위한 도구이다.


 

비바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목록

Total 14,255건 462 페이지
최근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425 북한이 쓴 4.3사건-4 지만원 2011-03-07 16782 84
424 고행 (苦行) [시] 지만원/낭송 사임당 제주훈장 2020-01-27 4739 84
423 [다큐소설] 전두환 (8) 5.18 - I(수정완료) 관리자 2024-02-14 14118 84
422 빈 라덴과 제주인민해방군 (비바람) 댓글(3) 비바람 2011-05-04 15471 84
421 방송기자협 주최 토론評: 나경원의 토론실력은 기록돼야 걸작(조영환… 지만원 2011-10-25 22211 84
420 오바마 대통령의 애리조나 추모 연설(김영구) 지만원 2011-02-01 15741 84
419 김명국이 5.18조사위에 도장 찍은 사연 지만원 2021-04-18 4441 84
418 민중은 공산주의자들의 희생양(만토스) 댓글(1) 만토스 2011-02-01 17761 84
417 제주4.3평화공원 불량위패 세미나(동영상 종합)2015.2.11. 시스템뉴스 2015-02-14 5794 84
416 5.18은 끝나지 않은 '남북한 빨갱이들의 연합모략전' 지만원 2010-02-21 23486 84
415 우리법 마음에 들게 튀는 판결해야 출세한다 지만원 2010-02-22 23030 84
414 [518 답변서] 시판용 출판하는 까닭은 지만원 제주훈장 2021-12-25 4278 84
413 播韓國民여러분;분투하라 싸워라;위문공연필름 candide 2021-12-26 4227 84
412 김정남도 현충원에 묻힐까 (오막사리) 오막사리 2010-10-15 19026 84
411 제주4.3의 화해와 상생이라는 이름의 사기극(비바람) 지만원 2011-03-29 19426 84
410 해방 공간의 제주도 프로필(제주4.3반란사건) 지만원 2015-01-07 5923 84
409 3.5차 정상회담 유혹과 미망 (소나무) 소나무 2010-01-05 24821 84
408 이순실의 탈북 과정 [탈북자들의 위험한 가면] 지만원 2020-09-29 5005 84
407 쌀을 전략적 무기로 전용하자 (초록) 초록 2010-08-25 22820 83
406 한국의 사법 정의를 위한 제안(검은바다) 댓글(4) 검은바다 2011-01-17 15453 83
405 5. 국방경비대의 토벌 작전과 이로 인한 인민군 피해 지만원 2011-02-19 22222 83
404 이왕 퍼줄 바에 오세훈은 1억 원씩 퍼주라 비바람 2021-02-16 4171 83
403 문서송부촉탁신청서(외교부) 지만원 2020-10-12 4401 83
402 이재오가 충성한 남민전은 열등인집합소 관리자 2009-11-16 31438 83
401 진정한 복지의일례 미국공립학교 장애아복지(조동수) 댓글(3) 조동수 2011-01-18 20591 83
400 이주천: 김대령 저 '역사로서의 5-18'(3) 해설(참깨방송) 관리자 2013-07-30 10059 83
399 [지만원TV]제228화, 10.26과 5.18은 하나 지만원 2020-04-03 5598 83
398 광주의 고백, 5.18 더 이상 민주화운동 아니다! 지만원 2025-07-04 3519 83
397 광주에 직파돼 5.18지휘했다는 손성모[안찬일TV] 지만원 2020-11-14 4784 83
396 조선일보와 김대중고문이 우파 맞아?(비전원) 비전원 2011-01-26 17468 83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