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가짜 희생자들-(4)사망자 ‘1만명설’(비바람) > 최근글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최근글 목록

<제주4.3> 가짜 희생자들-(4)사망자 ‘1만명설’(비바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바람 작성일15-01-21 23:03 조회6,042회 댓글0건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본문


<제주4.3> 가짜 희생자들

 

1. 제주4.3평화공원의 불량위패들

2. 희생자 부풀리기

3. 고무줄 희생자

4. 사망자 ‘1만명설’

5. 불량 희생자들

6. 행방불명자

7. 수형인(受刑人)

8. 탈옥수(脫獄囚)

9. 예비검속자

10. 무고한 희생자

 

 

4. 사망자 ‘1만명설(說)’

 

국회 차원의 4.3진상조사는 2000년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1960년 당시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를 할 당시에 4.3진상조사가 있었고, 이와 병행하여 제주도의회에서도 4.3진상조사가 있었다. 도의회 차원에서 벌어진 4.3진상조사는 1960년, 1993년, 1997년, 2000년에도 있었다. ‘월간관광제주’에서는 1989년 4월호에 4.3피해자 현황을 싣기도 했다.

 

위와 같이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공신력있는 조사를 하여 발표된 4.3 사망자 숫자는 대부분 1만 명 내외였다. 이는 4.3정부보고서에서 발표한 숫자와 유사한 것이었다. 3만 명이나 8만 명과는 거리가 먼 결과였다. 이런 조사결과들이 나오면서 4.3사망자 ‘1만명설(說)’은 대세가 되었다.

 

그럼에도 아직도 4.3사망자 ‘3만명설’을 부르짖는 일부 선동가들이 건재하기는 하다. 그러나 1만 명이라는 숫자에도 거품이 끼어있다. 1만여 명이라는 숫자에서 거품을 걷어내고 불량 희생자를 솎아낼 수 있다면 그때서야 4.3 사망자 숫자는 사실에 근접할 것이다.

 

1950년대에 발표된 자료 중 사망자가 1만 명 내외인 것은 ⑪번으로 1957년 제주신보에서 발표한 것이 유일했다. 이것은 어느 정도 사실에 근접했다는 사실만으로 참조할 가치가 있는 숫자다. 다만 경찰과 합동조사였기에 군경에게 당한 피해자를 일괄적으로 공비로 표현한 것은 오류이다. 이 숫자가 발표된 1957년 4월 3일은 마지막 공비 오원권이 체포된 뒷날로서, 4.3 종료 후 처음으로 발표된 피해 상황이다. 제주신보는 4월 3일을 맞이한 특집으로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피해 상황을 조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⑪ 1957년 4월 3일 제주신보 : 공비사살 7,893명. 공비에게 참살당한 양민 1,300명

     합계 9,193명

⑫ 1960년 국회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특별위원회 : 사망자 1,878명

⑬ 1989년 월간관광제주 : 공비에게 살해된 수 1,288명, 진압과정에서 살해된 수 6,750명,

     합계 8,033명

⑭ 1995년 제주도4.3피해 1차조사보고서 :

     사망 8,679명, 행불 1,041명, 형무소 행불 870명. 합계 10,581명

      (가해자 토벌대 8,909명, 무장대 1,065명, 기타 141명, 분류불능 466명)

⑮ 1997년 제주도4.3피해조사보고서-수정보완판 :

    사망 9,361명, 행불 1,346명, 형무소 행불 958명. 합계 11,665명.

    (가해자 토벌대 9,674명, 무장대 1,314명, 기타 164명, 분류불능 513명)

⑯ 2000년 제주도4.3피해조사보고서-2차수정보완판 : 합계 12,243명

⑰ 2003년 4.3위원회 백서 : 사망자 10,156명, 행불 3,718명, 후유장애자 204명,

    수형자 244명, 합계 14,322명.

 

50년대와 달리 60년대 이후 조사에서는 사망자 숫자가 1만 명 내외에서 맴도는 것을 볼 수 있다. ⑫번의 사망자 숫자 1,878명은 공비들에게 당한 숫자만을 조사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1만 명 내외에서 맴돌던 사망자 숫자가 1만 명을 훌쩍 넘어선 것은 2000년대 이후였다. 이때부터 거품이 끼기 시작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1만명설(說)’에도 권위를 부여하기는 힘들다. ‘1만명설’은 불량위패들이 유입되기 시작한 것과 때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에도 거품이 끼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60년대 이후의 조사에서는 비슷한 근사치가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위에 열거된 숫자들은 신빙성을 가지고 있음에 틀림없다. 통계가 반복될수록 수학적 근사치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위의 조사기관들이 모두 권위와 열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진실은 위의 숫자들과 가까운 곳에 있다고 할 수 있다.

60년대 이후의 조사에서 1만 명 내외에 탄착점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4.3사망자 숫자는 1만 명 내외에 어른거리는 것이 확실하다. 위의 조사에서 주목할 것은 ⑪번과 ⑬번이다.

 

⑪번의 제주신보 조사는 4.3특집으로 대대적으로 준비된 것이며, 4.3 직후의 조사이기에 기억에 의존하는 조사 특성상 사실성이 가장 농후하고, 4.3 직후의 시대적 상황 상 정치적 배경이나 생존자들이 끼어들 여지가 없었기에 가장 진실에 가까운 숫자라고 보여 진다. 그리고 이때 합동조사를 했던 경찰에서는 4.3사망자 숫자 논란을 잠재울 목적으로 호구조사를 병행하면서 어느 집에 숟가락 몇 개까지 파악할 정도로 정밀한 조사를 펼쳤다. 그래서 지금까지 나온 숫자 중 ⑪번의 숫자는 사실성과 정밀성에서 가장 신빙성이 높은 숫자이다.

 

⑬번의 ‘월간관광제주’ 조사는 개인이 조사한 것이다. 여기에 권위를 부여하는 것은 조사자의 열정과 노력이 깃든 조사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월간관광제주’ 발행인 박서동은 여섯 살의 나이에 4.3을 겪었다. 월간관광제주 1988년 10월, 11월호에는 박서동의 4.3수기 ‘어머니의 잔영은 곱게 따은 뒷머리의 하얀 가리마뿐’이 실려 있다. 사람의 심금을 울리는 이 4.3수기의 일부는 ‘대한민국 국민이 꼭 읽어야 할 제주4.3(8)’이라는 제목으로 필자가 논객넷과 시스템클럽 게시판에 옮긴 바 있다.

 

박서동은 4.3피해조사에 나서게 된 이유를, 제주도의 저명인사들이 ‘8만명설’을 주장하는 것에 분노를 느꼈고, 특히 88년 당시 KBS 심야토론에 나온 대학생이 4.3 당시 제주도민 ‘10만 명’이 피해를 당했다는 증언을 듣고 경악해서였다고 했다. 박서동은 1989년 당시 4.3유족회 총무로 있으면서 제주도내 각 부락을 직접 발로 뛰어다니며 가가호호 방문하여 진술을 들었고, 그 진술을 토대로 현장 확인과 호적부 확인을 거치면서 피해조사를 해냈다.

 

제주신보와 월간관광제주의 조사는 4.3사망자 논란을 잠재울 목적으로 책임감과 열정이 들어간 조사라는 데에서 관공서에서 시행하는 홍보용 행사로 희생자 신청을 받는 조사와는 차원이 달랐다. 더욱이 두 개의 조사에서 결과 치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두 개의 조사와 90년대에 조사된 ⑭번 ⑮번의 제주도의 조사에서도 사망자는 8천에서 9천으로 비슷한 수치가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제주4.3의 사망자 숫자는 8~9천의 근처에 있다는 것이 진실에 가깝다. 그리고 8~9천의 사망자 숫자에서 부정신고자와 불량희생자를 골라낸 다음에 나온 숫자야말로 진정으로 ‘무고한 희생자’의 숫자가 되는 것이다.

 

4.3위원회가 14년간의 접수 끝에 발표한 사망자 숫자는 10,344명, 전자와 비교하면 대략 1~2천 명 정도 차이가 난다. 이것은 거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은 희생자 신고를 안 해도 될 불량희생자들이거나, 생존자, 기타 보상을 노린 가짜 희생자들일 수도 있다. 4.3에서 사망자는 1만 명 아래이다. 그래서 사망자 ‘1만명설’이라는 것도 실상은 좌익들이 만들어낸 허상이고, 믿을 수 없는 허구이고, 선동을 위한 도구이다.


 

비바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목록

Total 14,265건 465 페이지
최근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45 (제주4.3)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7) (비바람) 댓글(1) 비바람 2013-01-20 10345 82
344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4.3피해자수 지만원 2011-05-17 22965 82
343 박근혜 대통령이 읽어야 할 제주4.3(4) (비바람) 비바람 2014-01-11 7801 82
342 500만 야전군 입대 지원서 양식에 서명일자, 회비, 납부자-징수… 생명수 2011-09-21 17233 81
341 3.1절 기념행사를 빙자한 남로당의 파괴 선동 공작(제주4.3반란… 지만원 2015-01-21 6159 81
340 무등산의 진달래, 광주법원 판결 지만원 2021-02-22 4502 81
339 2월 16일, 첫 번째 월례강연 동영상 지만원 2012-02-19 23496 81
338 채명신 사령관 보좌관의 증언 [동영상] 관리자 2013-12-02 8252 81
337 상고이유보충서(2022.6.3. 제출) 지만원 2023-01-07 5849 81
336 5.18답변서 사자 김사복에 대한 명예훼손 부분 지만원 2021-07-14 9813 81
335 이상향(12), 맺는말 댓글(3) 이상진 2021-03-06 4706 81
334 4.3추념일 지정에 반대하는 세미나 동영상!(2014.1.20) 시스템뉴스 2014-01-22 8149 81
333 A Grave Lesson We, Koreans Should no… 댓글(4) stallon 2013-07-03 8682 81
332 희대의 금융사기꾼들을 배출한 광주일고 탐구(팔광) 팔광 2011-06-07 18364 81
331 500만 야전군이 가는 길!(현우) 댓글(1) 현우 2012-05-10 12947 81
330 4.3 공비토벌 지만원 2011-05-11 23457 81
329 언제라야 자유인 될까 지 만 원 댓글(2) 제주훈장 2021-12-21 4115 81
328 남북 당국자간 회의, 말보다 실천이 필요 (만토스) 댓글(2) 만토스 2013-06-07 8572 81
327 김용삼, 황장엽-김덕홍 광주발언 무시말라(참깨방송) 파도야 2013-06-07 9840 81
326 군 복무를 존중히 여기며 명예롭게하는사회(김피터) 김피터 2013-03-27 10518 81
325 제주4.3평화공원의 불량위패들(2) (비바람) 비바람 2014-02-08 9682 81
324 지만원tv 제142화, 미래로 가야지요 지만원 2019-11-23 6320 81
323 제주4.3의 진실을 말한다(2부) -동영상 (비바람) 비바람 2013-07-19 9747 81
322 김정일의 신호탄에 눈 감고 입 막은 지난 14년(솔내) 솔내 2012-02-14 13276 80
321 1980년 5월 18일 오후 상황 지만원 2021-10-17 3944 80
320 준비서면(2021가합51794 손배) Ⅰ: 박철, 박선재, 양홍범 관리자 2023-10-25 7529 80
319 정리 중인 상고이유서 (상편) 지만원 2022-03-03 11202 80
318 정리된 상고이유서[2] 지만원 2022-03-06 10266 80
317 비봉출판사 삼국연의(三國演義) 발간 (올인코리아) 관리자 2014-12-12 7385 80
316 지만원tv, 제135화 삼청교육대 지만원 2019-11-08 5977 80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