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 혁명 수기( 제3회), 새벽, 한강 대교에서의 전투 >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목록

5,16 혁명 수기( 제3회), 새벽, 한강 대교에서의 전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피터 작성일11-02-19 12:39 조회3,286회 댓글7건

본문

              5,16 혁명 수기( 3 )- 새벽, 한강 교에서의 총격전

                                           김 피터 ( 박사, 교수)

 

   (금년은 5 16 혁명,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지금까지 5 16에 관한 이야기들이

   주도층에 의해서 많이 나왔습니다. 필자는 당시 혁명군 (해병) 선봉 소대장으로     

 참가 했었습니다. 하나의 말단 지휘관인 일선 해병소대장의 입장에서, 쓴 글도

 필요할 것 같아, 이글을 올립니다. 이 글은 필자의 동의 없이 전재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_ 필자)

 

 

  우리 해병 혁명 궐기군을 실은 트럭 대열은 행진을 계속하여 눈에 익은 김포읍(당시) 시가지를 지났다. 트럭 앞자리에 앉아 달리면서 머리에 떠오르는 여러 가지 상념을 지우려고 차의 유리문을 내리니, 5월의 쌀쌀한 밤 바람이 볼을 스친다.  염창교 검문소 지역에 왔을 때 잠깐 행렬이 멈추었다. 전투모에 두 개의 별이 선명히 보이는 육군 장성을 비롯한 일단의 장교들이 우리를 향해서 손을 들어 흔들며 반갑게 인사를 보내고 있었다.  그 별두개의 장성이 바로 박정희 소장이었다는 것은 후에 안 사실이다.

 

                          염창교에서 본 박정희 소장

 

그러면 왜 5 16 혁명군의 최고 중심인물인 박정희 장군이 서울 시내의 요충지대에 위치하여 혁명을 진두 지휘하지 않고, 몇몇 장교만을 거느리고, 이 변두리 지역, 염창교까지 나와서 우리 해병부대의 행진을 환영하고 있는 것인가?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지만, 5 15일 밤 10시경, 육군 참모총장 장도영 장군은 방첩부대장으로부터 박정희의 군사 혁명 전모를 보고받고, 혁명군으로 출동 준비중인, 김포의 공수부대, 부평의 33예비사단, 수색의 30예비사단 등에 출동 정지 명령을 내렸다.  김포 해병 여단에는 연락을 시도 했으나 모든 통신이 두절상태였다.  그는 제 7헌병 대장에게 명하여, 한강 대교를 바리케이드로 차단하고 헌병대 병력을 배치하여 모든 통행을 저지하라고 명령했다.

 

일촉 즉발의 위기와 혼란 가운데서 D-Day, 16일이 시작되고 있었다.  6관구 사령부에 있던 박정희 소장은, 0 30분경 출동 예정부대들이 참모총장의 명에 의하여 저지당하고 있는 사실을 파악하고, 이제 믿을 곳은 공수단과 해병대라고 판단하여, 김포 가도로 달려 나갔다. 먼저 공수부대를 찾아가 출동을 독려했다. 그러나 공수단장 박치옥 대령 역시 참모총장의 명령을 받고 부대출동을 막고 있었다.

 

 이제 남은 것은 해병대가 유일한 부대였다. 그래서 박정희는 해병대의 서울 진입 예정지인 염창교 지역으로 달려 왔던 것이다.  어둠을 뚫고, 거침없이, 용맹스럽게 달려오는 수많은 해병부대 추럭의 불빛 행렬그것을 바라보는 박장군의 두 눈에 이슬이 어른거렸다.

박소장은 김윤군 준장에게 자세한 상황을 설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문제가 좀 생겼으니 해병대 가 1으로, 한강대교를 통해 서울로 먼저 진입하라고 얘기했다. (본래 계획은 공수부대가 제 1진으로, 해병부대는 제2진으로 서울로 진입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그때, 겁 없는, 한 해병 소대장의 눈에는, 염창교에서 몇몇 장교들과 함께 서 있던 그 2성 장군의 모습이 좀 초라해 보였다고 하면, 아주 건방진 소리임에 틀림이 없다.

 

                       하나의 잊혀진 전투( A forgotten battle)

 

새벽 330분경, 드디어 우리 해병부대는 한강 대교 (그때는 한강 인도교라고 불렀으며, 당시 한강에는 철교와 인도교, 두 개의 다리만 있었다.)에 이르렀다.  그런데 거기에는 육군 헌병 찝차가 길을 막고 있었고 헌병들이 총을 겨누고 경계를 서고 있었다.  제일 선두에 있던 2중대장 이준섭 대위가 차에서 내리며, 길 한가운데 서있는 헌병 대위에게 다가가, 우리는 연천으로 야간 기동훈련을 나가는 중이니 길을 비키시오라고 소리쳤다.  그러나 헌병 대위는 험상궂은 얼굴 울 하며, 육군 참모총장의 명령에 의하여, 어떤 차량이나 부대도 한강을 넘어 갈수 없으니 돌아가시오.라고 응수하였다.

 

그렇게 실랑이를 벌이는 사이, 찝차 한대가 달려왔다. 대대장 오정근 중령이 권총을 빼 들고 차에서 뛰어 내렸다.  그는 빨리 물러서라 고 소리쳤으나 헌병 대위는 완강하였다.  화가 난 오정근 중령이 권총을 들어 방아쇠를 당겼다.  ! 새벽 밤하늘을 가르며 퍼진 이 한방의 총소리야말로 수도 서울을 향하여, 5 16 군사혁명의 봉화 불을 올리는 하나의 신호탄이 되었다. 그러자 헌병 대위와 길을 막고 있던 헌병들이 급히 한강대교 쪽으로 사라졌다.

 

다음 순간, 한강교 쪽에서 헌병들의 사격이 개시되었다. 거기에는 이미 참모총장의 명령에 의하여 헌병들의 방어 저지선이 구축되어 있었던 것이다.  한강다리 중간 경찰 파출소쪽과 노량진 쪽 한강 다리 입구에 여러 대의 GMC 트럭으로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헌병 병력이 전투 준비에 임하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 해병들은 급히 트럭에서 뛰어내려 산개하며 전투 자세로 들어갔다.  드디어 헌병부대와 우리 해병부대간에 불꽃 튀는 총격전이 시작되었다.  제일 앞 선두에서 지휘하던 예의 우리 2중대장 이대위가 먼저 총에 맞아 쓰러졌다.

 

 그런데 이 전투의 초기에는 우리 해병 쪽이 불리한 위치에 있었다. 왜냐하면 모든 전투에서 중요한 것은 정보인데, 우리는 지금 상대 쪽의 병력 수나 화력이나 방어체계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  그리고 지금 전투 지역이 제한된 공간 즉 좁은 다리 위이다. 먼저 도착해서 방어체계를 구축해 놓은 방어 쪽이 공격쪽보다 훨신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 해병 부대의 김윤근 여단장을 비롯한 지휘부 장교들이 어떤 사람들인가?  대부분 6 25 전쟁에서 싸웠던 역전의 용사들이다. 이런 작은 전투에서 당황할 사람들이 아니다더구나 우리가 누구인가?  귀신도 잡는다는 용맹한 무적 해병이다

 

그러나 나 자신은 어떤가?  실전 경험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군대 생활도 얼마 안 되는, 소위 계급을 달고 있는 하급 장교이다.  피를 흘리는 부상자들을 볼 때 이 전투에서 죽을 수도 있겠구나하는 생각이 퍼뜩 머리를 스쳐가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여기 한강 다리에 이미 저지선이 구축되어 있다면, 서울 시내에는 반 혁명의 대규모 육군 부대들이 방어선을 구축하고 우리 해병 혁명군을 대항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허리를 굽히고, 다리 난간에 몸을 숨기며, 전진하면서도 그런 생각이 머리를 스쳐가, 두려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지금 생각하면 무슨 대규모의 전투도 아니 였지만 그때는 상황이 아주 당황스럽고 급박했었다.  이 한강 저지선을 돌파하지 못하면 우리의 혁명 계획은 실패될 것이고, 따라서 우리 모두는 국가변란을 획책한 반역자가 되어 처벌을 받게 될 것이다.

 

밤하늘에 콩뽁듯 교차되는 총소리, 다리 난간에 맞아 소리를 내며 튀는 유탄 소리, 들것에 실려가는 부상병, 내속에서 하나의 뜨거운것이 솟구침을 느꼈다.  나는 나도 모르게 전진 하라! 겁내지 마라!  쏘아랏! 소리치면서 소대원들과 함께 어둠 속에서 보이지 않는 적을 향해 총을 마구 쏘아댔다.

  첫 번째 저지선을 통과하고 전진하자, 2의 저지선이 나타났다.  바리케이드로 만든 여러 대의 트럭이 완전히 길을 차단하고 있었고, 강한 헤드라이트 불빛이 우리의 전진을 막고 있었다.   헤드라이트를 조준 사격하라! 는 대대장의 외치는 소리가 들려왔다. 우리의 집중사격을 받고 모든 불빛이 사라졌다. 그리고 우리편의 트럭이 달려나가 바리케이드 트럭들을 밀어냈다.

 

드디어 한강의 방어선을 완전히 돌파하고 우리는 다시 부대를 재정비하고, 조심하면서 서울시내로의 진입을 개시하였다.

 뒤돌아보니 그 육중한 한강 다리는 우리들의 총탄에 가로등이 다 깨진 채, 어둠속에서 말없이 그 자태를 드러내 놓고 있었다.  말없는 한강 대교. 그러나 너는 후일, 거기서, 진정 아무 사심 없이, 오직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일어선, 우리 해병들의 흘린 피가 헛되지 않았음을 증언해 주리라. 

 

1961 516일 새벽의 그 치열했던 (그때 나에게는 그렇게 느껴졌다.) 한강교 총격전, 그러나 하나의 잊혀진 전투(The forgotten battle) 가 되었다. 거기서 부상당한 장병들에게 무슨 보상이 주어진 일도 없다.  5 16 혁명의 최선봉에 서서, 최초의 반 혁명군을 물리치고, 그래서 5 16 혁명을 가능케 했던, 우리 해병부대 누구에게도 무슨 공로를 인정하는 상훈 같은 것도 물론 없었다. (내가 아는 한도 내에서는)

 혁명 주도 측에서는, 5,16 무혈 혁명이라는 명분을 내 세우기 위해, 그리고 5 16 혁명을 인정하지 않는 측에서는, 아무런 가치 없는 총격전이라고 비하하는 가운데, 그날 새벽, 목숨을 걸고 싸운, 우리 해병대의 희생은 철저히 그렇게 역사에서 무시 되고 잊혀저 갔다.

 

 

 

 

 

댓글목록

inf247661님의 댓글

inf247661 작성일

매년 5월달 달력에서 5월 16일을 보면! ,,. 아무런 표시도 없! ,,.
비통한 마음이며 울컥 화딱지가 납니다. 기(其)러나? 5.18 날짜를 보면? ,,. 이거 정말 무슨 수가 나도 나야만! ,,. 빠드~득! '금 뒈쥬ㅣㅇ'롬의 더러운 송장을 동작동 모이에서 파내 댇깔빡을 뽀개 빠쒀서 똥을 섞어 서해 바다에 멀리 갇다 버려야! ,,.

지금이라도, '김 종필 ㅡ ㅡ ㅡ JP' 는 책임을 통감하고 1961.5.16을 성사시켰었던 해병사단 부상자 및 전사자(?) (있다면), 그 해병대원들의 친.외척 연고자들을, 사돈의 8촌 까지라도, 찾아내서 모조리 보상.배상을 해 드려야만 한다! ///
물론, '민주화'의 탈을 쓴 롬들 및 부정.부패한 빨갱이들의 전 재산을 차압.몰수해서! ,,.이런 일을 전혀 몰랐! ,,.

심심도사님의 댓글

심심도사 작성일

오히려 그 때 이후로 해병대가
된서리를 맞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 이유는 저도 잘 모릅니다만....
아마도 박대통령의 눈에 띄지 않았던 건 아닐까도 생각합니다....
어쩐일인지는 몰라도 박대통령의 눈이나 귀에 별로 달갑지 않게 생각됐었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혹????
 5.16의 성공을 기화로 그 기대치 이상을 바랐던 사람이라도 있었는 지?????
지금까지도 제게 그게 꽤나 커다란 의문 덩어리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월남 파병을 전후해서 공수부대는 그런대로 우대했었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만....

빵구님의 댓글

빵구 작성일

그때 김대중과 김영삼을 그리고 김종필까지 다 없애 버렸으면 지금의 후환은 없지 않을까 합니다.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원조물자에 의존해서 목숨을 부지하던 인간들이 이제는 입만 열었다 하면 박정희 욕을 합니다....

김피터님의 댓글

김피터 작성일

심심 도사님:
댓글 잘 보았습니다.
5 16 이후, 해병대가 된서리를 맞은 이유는, 다음번 4번째글에서 밝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피터드림

김피터님의 댓글

김피터 작성일

inf247661 님께:
5 18은 하나의 '폭동', 혹은 김일성에 의한 대한민국 적화 난동으로 알고 있는데,
5 16은 그쪽 사람들이 볼때는 '반역'이겠지만, '구국'을 위한 혁명이였습니다.

그러나 , 군대를 갔다 오지 않은 김영삼, 김대중, 좌빨 노무현, 좌익세력 등에 의하여 철저히 잘못 평가되어 아직도 공적인 '올바른 역사적 평가가 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감사합니다.
김피터드림

김종오님의 댓글

김종오 작성일

자랑스러운 해병 소대장 김00(피터) 소위님!
한강교 벙어측 헌병 하사(뒷날 국회의장 경호관)로부터 그 날 그 새벽의 교전 상황을 술자리서 몇번이나 들었습니다만, 솔직히 그로부터 들은 얘기는 술안줏거리로는 재미있었으나, 오늘 김소위님의 50년전 실전상황을 읽고보니 그 역동감이 제 가슴팍에 뜨겁게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역전의 용장이셨던 김피터 박사님께 경의를 표합니다.

ckatnfl님의 댓글

ckatnfl 작성일

용맹한 김소대장님과 무적해병대의 공로를 저와 대한민국은 영원히잊지않겠습니다. 제가 역사를 쓸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해병대의 공로와 평가를 짚고 넘어가고 싶습니다 한강을넘어 시내로 진입하지 못했다면 대한민국의 지도가 월남처럼 사라졌을지도 모를일일입니다 . 나름의 견해입니다만 한고조유방이 전략가이며 일등공신인 한신을 토사구팽한것같이 거사이후 해병대의 공로와 평가를 덮은일은 박소장의 측근들의 모사가 있었을것으로 생각되며 해병대는  토사구팽당한것같습니다  한고조 유방이 한신이 두려워 배신한 것처럼 박소장도 내심 해병대가 두려워 배신한것같습니다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목록

Total 18,634건 304 페이지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9544 당신은 자랑스런 대한민국 국민입니까? 아니면 댓글(2) 팔광 2011-02-20 2044 33
9543 구제역과 전라도 댓글(2) 하족도 2011-02-20 2069 31
9542 멋쟁이 오둘포 전우들이여! 댓글(5) 민대감 2011-02-20 2048 6
9541 김정은 세습 못한다 댓글(1) systemgood 2011-02-20 2376 4
9540 수개월 내에 북한의 도발에 직면할 수 있다 댓글(2) 금강인 2011-02-20 1847 8
9539 아직 끝나지 않은 타블로 사태 댓글(6) 우주 2011-02-20 2635 34
9538 참으로 안타까운 남양주 현장조사를 지켜보면서.... 댓글(2) 김진철 2011-02-20 2120 40
9537 2.19 SBS <그것이 알고싶다> 보다가 열받아서..… 댓글(1) 익명의지지자 2011-02-20 2262 40
9536 5.18광주사건과 북한특수부대 개입 | 댓글(2) 반공청년투사 2011-02-19 2235 28
9535 (기린아의 시국진단 뇌구조) 깨달은 것, 가야할 길. 댓글(5) 기린아 2011-02-19 1788 19
9534 평양에서 시위 벌이는 상상을 하니... 댓글(1) 東素河 2011-02-19 1796 17
9533 오바마 대통령님 제발 꼭 씹정일을 절단내 주시기를... 양레몬 2011-02-19 1917 13
9532 김대중과 연천땅굴 댓글(3) 빵구 2011-02-19 2454 47
9531 [전라도인의 공감지대] 대한민국의 파멸을 위해 순교하리… 댓글(1) 소강절 2011-02-19 1903 25
9530 광주비디오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댓글(1) 금강야차 2011-02-19 1928 10
9529 4.3사태에 대한 글 감사... 싸울아비 2011-02-19 1814 10
9528 남양주 폭음이 땅굴이 아니라고 하는 근거가? 댓글(2) 한가인 2011-02-19 1797 15
9527 남양주 의문의 폭음소리 듣기 댓글(14) 자유의깃발 2011-02-19 3019 19
9526 김제동 들여다보기 댓글(5) 자유의깃발 2011-02-19 2188 36
9525 두드려도 영원히 열리지 않을 듯한 전라도인의 가슴 門.… 댓글(3) 소강절 2011-02-19 2055 35
열람중 5,16 혁명 수기( 제3회), 새벽, 한강 대교에서의… 댓글(7) 김피터 2011-02-19 3287 50
9523 사기치고 거짓말하는 인간을 존중하는 사회는 없다. 팔광 2011-02-19 1978 33
9522 지역 감정 (영/호남)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케 해주는… 검은바다 2011-02-19 2023 8
9521 선거로 안되면 갈아 엎어 버리겠다? 댓글(3) 팔광 2011-02-19 2015 35
9520 대한민국의 가장 큰 위험은 전라디언에게 도사리고 있다 댓글(5) 팔광 2011-02-19 2204 48
9519 관리자님 댓글(3) 다투기 2011-02-19 2636 0
9518 땅굴문제 떠드는 보수시키들에게 댓글(3) 산하 2011-02-19 2025 27
9517 ♥"백두산 화산 대폭발"♥에 한가닥 희망을...(201… 댓글(3) 自强不息 2011-02-19 2008 30
9516 북한 두더지부대 현역군인 남침땅굴 증언 과 남양주땅굴 … 비전원 2011-02-18 5723 31
9515 전쟁없는 평화 사진전시회에 다녀 와서 안케 2011-02-18 1775 12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