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 합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에 박수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개써글 작성일11-02-18 10:57 조회1,80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천안함 폭침사태와 연평도 포격도발을 겪으면서 우리군의
전력운용에 고도의 합동성이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군 안 밖에서 나오면서
군이 3군의 합동성 강화를 위해 본격적으로 정책 변화를 위한 시동을 걸려나 보다.
우선 육해공군 사관학교와 육군3사관학교, 학군후보생, 학사사관후보생과정을
마치고 임관하는 장교들을 한 군데 모아서 합동 임관식을 갖겠다는 구상이다.
여기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없지 않는 것 같다.
우선 각 군 사관학교와 육군3사관학교는 나름대로 교풍(校風)이 있고 또
졸업식과 임관식을 병행하면서 많은 후배생도들의 축하 속에 자랑스런(?)
임관행사를 못 가진다는 것은 임관하는 장교는 물론 많은 후배 생도들에게도 서운한
일일 것이다.
또한 임관하는 장교들이 한군데 모여서 임관식을 함으로써 합동성을 강화하겠다는
군 당국의 설명은 비난받을 소지가 다분히 있다. 특히나 임관식에 참석하는 임석상관과
군 수뇌부들의 바쁜 일정을 고려했다고 하는 것도 설득력이 약하다.
차라리 그 보다는 임관하는 장교들에게 근무할 터전이 각
군에 국한되지 않고 육해공군을 넘나드는 폭넓은 활동무대로 진출하는 첫걸음이
되고 또 이런 마인드를 형성해 주는 계기를 삼기위해 상징적으로 합동임관식을
한다고 하는 것이 보다 설득력이 강할 것이다. 그러나 합동임관식 같은 일회성
행사보다는 실질적으로 야전에서 3군이 교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타군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예를 들어 위관장교 때부터 3군이 서로 교류근무를 할 수 있는 직위를 신설하여
일종의 교환근무를 하게 하는 것이 실질적인 3군을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공통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분야에는 타군 장교들을 영입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지금처럼 군 생활 20년 넘게 한 중령이 합참에 보직 받아 와서야 타군
장교들과 함께 근무하는 기회가 오는 지금의 체제에서 벗어나야 한다.
좀 더 일찍 합동부대에 근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아울러 계룡대에서 타군 작전현장 체험을 갖는다는 소식도 있는데 이것도 이런
합동성 강화의 일환이 될 것으로 믿는다. 각자 자기가 속한 군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충분히 이해되지만 전투력 창출이 목적인 군대 조직에서는 보다 큰 전투력 승수
효과를 얻기 위한 합동성을 강화해야하고 이런 노력은 군 안 밖에서 성원과 격려가
필요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