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겪은 6.25(81)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찬수 작성일10-12-10 03:50 조회1,995회 댓글3건관련링크
본문
원산형무소에 있었던 사례를 얘기하기에 앞서 전국의 학살 피해 상황을 먼저 알아보았다(김필재라는 분이 1952년에 발간한 대한민국 정부 통계연감을 근거하여 기록 발표한 내용 등 여러 경로로 조사된 자료이다). 끔찍한 애기만 듣다가 실제 이런 기록을 이제야 이렇게, 전쟁 당시 김일성의 주민학살 사례를 여러 경로로 기록된 것을 참고자료로 다시 알아보니 참으로 끔찍했다. 인간으로서는 있을 수 없는 마귀같이 악착스런 짓이었다. 시기적으로 보면 인민군이 남쪽 대한민국 국민을 해방시킨다고 밀려 내려왔다가 유엔군의 참전과 국군의 반격이 이루어진 1950년과 1951년 중공군이 밀려왔다 퇴각할 때 있었던 대부분의 만행은 너무 끔찍했다. 다음은 김일성의 명을 받은 무리들의 학살 사례를 조사한 것이다.
〈학살 민간인 총 122,799명, 납북자 수 84,532명〉
6․25 당시 북한 인민군과 좌익(左翼)분자의 학살 유형은 주로 비무장한 적(敵)
에 대한 대량의 보복 처벌이었다. 그 형태는 대개 ‘인민재판’ 혹은 ‘공개처
형’의 형태였다. 특히 인민군 점령 지역에서는 인민군의 전폭적 후원을 받은
지방 좌익들이 활개 치면서 우익 인사 및 그 가족들을 인민재판을 거쳐 죽창
이나 칼․낫과 같은 원시적 무기로 난도질하여 처형하거나 고문 및 학살을 자
행했다.
한국전쟁 기간 동안 인민군과 좌익에 의해 학살당한 민간인은 총 122,799명(1952년 발간《대한민국통계연감》)에 이른다.
서울을 점령한 인민군의 경우 미처 피난을 가지 못한 경찰이나 군인 그리고 이들의 가족들을 체포해 그 자리에서 인민재판에 회부했으며, 체포를 거부할 시에는 즉결처형을 했다. 인민군은 공무원, 군, 경찰, 학자 등 소위 인텔리 계층을 최우선 대상으로 학살했다. 그 대상에는 부녀자와 어린이들까지 대거 포함되었고, 반동분자로 낙인찍히면 가족은 말할 것도 없고 먼 친척까지 몰살당했다.
1950년 9월 20일 김일성은 이용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살려둔 수감 인사들에 대한 ‘제거’ 조치를 전체 점령지역의 행정기구에 하달했다. 후송을 하되, 후송 곤란 시에는 즉결 처치하라는 것이 주 내용이었다. 그러나 당장 먹을 군량미도 다 떨어져가는 마당에 어떤 인민군이 우익을 먹여가며 재워가며 후송하겠는가. 이것은 사실상 ‘전면적 학살’을 지시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납북자는 총 84,532명이었다.
전라남도에서도 800여 명의 양민이 무참하게 학살당했으며, 전북 무안에서는 퇴각하는 인민군이 주민 80명을 묶어 장작더미 위에 올려놓은 후 태워죽이기도 했다. 목포 시 연동에서는 미곡창고에서 300명의 무고한 사람들이 살해되었으며, 전남 임자도의 경우 전 주민의 절반 이상이 인민군과 지방 좌익에 의해 처형되었다.
총 4권으로 간행된《6․25 사변 피살자 명부》(공보처 통계국. 작성일 1952년 3월 31일)에는 59,964명의 피살자 명단이 실려 있다. 이 명부는 범례(凡例)에 “6․25 사변 중 공무원 및 일반인이 잔인무도한 괴뢰 도당에 피살당한 상황을 조사 편찬하였다”면서, 대상을 “군경(軍警)을 제외한 비전투자에 한하였다”고 밝혀, 인민군 등 좌익에 의해 피살된 사람들의 명단만 실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라남도’ 지역 피살자만 43,511명(전체의 72.6%).
명부에는 59,964명의 피살자 가운데 전남지역에서 피살된 사람이 43,511명으로 전체의 72.6%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라북도 5,603명, 충청남도 3,680명, 경기도 2,536명, 서울시 1,383명, 강원도 1,216명 순이다. 그 밖에 경상남도 689명, 충청북도 633명, 경상북도 628명, 제주도 23명, 철도경찰 62명이 좌익에 의해 피살된 것으로 기록됐다. 전체 피해자 가운데 남자가 44,008명, 여자가 15,956명이다.
여성 피살자 15,956명 가운데 13,946명이 전남지역에서 희생되었다. 피살자가 집중된 전남지역에서도 특히 영광군의 피해가 가장 컸다. 전남지역 피살자 43,511명 중 절반에 가까운 21,225명이 영광군에서 피살됐다. 영광지역 여성 피살자는 전국 여성 피살자의 절반 가까운 7,914명이다.
영광군 인근지역의 피해도 컸다. 전북지역 피살자 5,603명 중 2,364명이 피살된 고창은 행정구역은 전북에 속해 있지만 영광과 이웃해 있는 지역이다. 전남지역에서도 영광과 이웃한 나주(3,596명), 장성(4,306명), 함평(1,954명)군 등에서 피살자가 많았고 영암지역에서도 7,175명이 피살되었다.
이 밖에도 6․25 당시 소위 ‘바닥 빨갱이’들에 의해 가장 큰 피해자 집단 중 하나는 종교인들이었다.
지금까지 정리된 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6․25 당시 인민군과 ‘바닥 빨갱이’들에 의해 학살당한 목사․신부․장로․수녀들은 신원이 밝혀진 사람만 174명에 달한다. 또한 인민군이 퇴각하며 납북된 종교인들도 184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기독교인에 대한 집단학살은 전남 영암읍 교회 사건 등 3개월 이하의 인공치하에서 조직적으로 자행됐다.
전남 영암읍 교회에서는 신도 24명이 집단 학살됐고, 옥구에서도 20여 명의 신도가 학살됐다. 전남 서쪽바다 임자도에서는 150여 명이 구덩이를 파고 양민과 교인이 학살되었고, 충남 논산 병촌 교회에서는 한 살짜리 어린아이부터 육순의 노인에 이르기까지 60여 명의 교인들이 학살됐다.
한편 미군이 38선 이북으로 진격하자, 인민군은 북으로 후퇴하면서 북한지역에서도 숱한 학살극을 벌였다. 김일성은 6․25남침 때에 북한지역에서 이른바 북한 내 불순분자 색출을 모토로 ‘예비검속(豫備檢束)’을 했는데, 이들에 대한 성분조사는 악명 높은 ‘정치보위부’에서 실시했다. 김일성은 미군이 압박해 들어오자 모조리 이들을 학살했다.
국군과 미군의 평양 입성 후에야 확인된 사실이지만, 김일성의 북한 정권은 사람들을 쇠사슬로 묶어 총살한 다음 시체를 우물 속이나 창고, 방공호에 차곡차곡 쌓아놓았다. 구체적으로는 평양의 칠골리에서 2,500여 명, 평양 승호리 인근의 사도리 뒷산에서 4,000명 정도가 학살당했고, 평양의 기림 공동묘지 터와 용산 공동묘지에서도 학살이 있었다.
함흥에서는 함흥 감옥에서 700명, 충령탑 지하실에서 200명, 정치보위부가 있는 3곳의 지하실에서 300명, 덕산의 니켈 광산에서 6,000명, 반룡산 방공호에서 8,000여 명이 학살당했다. 또한 함흥 시에서만 모두 12,000여 명이 퇴각하는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학살당했다. (출처 :《자유공화국 최후의 날》,《지옥유폐 130일-원산 대학살 사건의 전모》박계주 著)
이처럼 만인이 보는 앞에서 학살을 당한 민간인이 122,799명이고, 납북자 수는 84,532명, 전쟁 중에 죽은 민간인이 244,633명이다.
〈자료 1〉김일성의 대량학살 책임을 보여주는 전시(戰時)하 김일성의 발언 및 지시
―후방을 철옹성같이 다져야 한다. 도피분자, 요언(妖言) 전파분자와 무자비하게 투쟁하며 밀정 및 파괴분자를 적발, 가차 없이 숙청하고 반역자는 무자비하게 처단해야한다. (1950년 6월 26일, 방송을 통한 김일성의 지시 하달. 출처 ‘남북한 관계 사료 집 22권’)
―반동분자, 비협력분자, 도피분자를 적발하여 ‘무자비’하게 숙청하라. (1950년 6․25 남침 직후 서울시내에 뿌려진 김일성의 호소문, 출처 ‘꽃피는 산하-6․25의 흔적을 찾아서’)
―국군장교와 판검사는 무조건 사형에 처하고, 면장, 동장, 반장 등은 인민재판에 부친다. (1950년 6월 30일 포고문, 출처 ‘정치범은 자수하라’와 ‘반동분자 처리지침’)
―숨어 있는 반동 도배들이 자수하기를 기다리면서, 그 반동분자들과 투쟁하지 않는 경향이 당 일꾼들에게 만연되고 있는 현상은 극렬히 비판해야 한다. (1951년 1월 21일, ‘적에게 일시 강점당하였던 지역에서의 반동단체에 가입하였던 자들을 처리함에 관하여’라는 군사위원회의 결정 3개항을 설명하면서)
―악질 반동에 대해 복수하려는 것은 극히 정당한 일입니다. (1950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정기대회에서 진술한 김일성 동지의 보고.《한반도 분단의 재인식》신일철 著)
〈자료 2〉남한 지역에서 발생한 북한군 양민 학살 현황
(출처 : 공보처 통계국 ‘6․25사변 민간피해조사표’)
지역 : 사망, 학살, 납치 순 (단위 : 명)
서울 : 29,688 8,800 20,738
경기 : 62,621 7,511 16,057
충북 : 24,320 3,409 6,312
충남 : 23,707 5,562 10,022
전북 : 40,462 14,216 7,210
전남 : 14,193 69,787 4,171
경북 : 35,485 6,609 7,534
경남 : 19,963 6,099 1,841
강원 : 17,122 6,825 10,528
총 : 사망 244,663 학살 28,945 납치 84,532
(교전이 직접 벌어지지 않은 제주는 제외)
〈자료 3〉북한지역에서 발생한 북한군 양민 학살
다음은 주로 UN군의 북진으로 전황이 불리해지자 인민군 주력부대가 퇴각하며 발생한 학살이다.
① 함남 원산(元山) 학살
발생장소 : 원산 시 시내, 신풍리 여왕산, 원산 앞바다, 원산 인민교화소
방법 : 4명 1개조로 묶어 방공호에 집어넣고 집단총격으로 사살
희생자 수 : 1,700여 명.
② 함남 함흥 학살
발생장소 : 함흥인민 교화소, 충령탑 지하실, 정치보위부 지하실, 함흥 북쪽 덕산 니켈광산반 용산 방공호
방법 : 집단 무차별 총살, 방공호의 경우 폭사, 우물 생매장, 투석
희생자 수 : 12,000여 명 (납치자, 실종자 포함되지 않은 수임)
③ 강원 고성(高城) 학살
발생장소 : 교외 저수지
방법 : 저수지로 몰아넣은 후 폭사
희생자 수 : 800명
④ 함남 영흥(永興) 학살
발생장소 : 영흥국민학교 운동장, 영흥 방공호
방법 : 무차별 난사
희생자 수 : 1,520명
⑤ 함남 순천(順川) 학살
발생장소 : 순천 북서쪽 터널
방법 : 무차별 난사
희생자 수 : 200명
⑥ 함남 신고산(新高山) 천주교도 학살
발생장소 : 인근 과수원(사과밭)
방법 : 장작 몽둥이로 집단 가격 후 살아남은 자는 총살
희생자 수 : 190명
⑦ 황해 해주(海州) 학살
발생장소 : 해주형무소 등
방법 : 독살, 해주지역 우물에 집단 생매장 후 돌로 무차별 가격, 소사(불 태워 죽임)
희생자 수 : 아이 업은 부녀자들 포함 1,200여 명 (이 학살은 종군기자들에 의해 UN에 보고됨)
⑧ 함북 갑산군(甲山郡) 학살
발생장소 : 양유리 줄버드나무 밑, 부흥리 굴, 지경리 느티나무 밑, 읍내 우물 다수
방법 : 총살, 우물에 집단 생매장
희생자 수 : 420명
⑨ 함남 고원군(高原郡) 학살
발생장소 : 운곡면 차탄다리 밑, 관평역과 흑토령 중간 저지대, 성내리 뒷산 공동묘지
방식 : 무차별 총살
희생자 수 : 800명
⑩ 황해 수안군 학살
발생장소 : 운곡면 차탄다리 밑, 관평역과 흑토령 중간 저지대, 성내리 뒷산 공동묘지
방법 : 무차별 총살
희생자 수 : 1,100명 (계속)
댓글목록
금강인님의 댓글
금강인 작성일
요즘 락이 없어요.
그나마 유일한 락은 "화곡 선생님의 글을 읽는 것" 뿐입니다.
매일 기다려지는 유일한 락입니다.
正道님의 댓글
正道 작성일6.25전쟁을 일으킨 민족의 철천지 웬-수 김일성...그가 저지른 만행을 읽노라면 온 몸에 전율이 느껴집니다..좌파종북세력 척결.강추...
심심도사님의 댓글
심심도사 작성일저도 금강인님과 대동소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