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반드시 읽어야 할 제주 4.3 사건에 관련된 글 >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목록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반드시 읽어야 할 제주 4.3 사건에 관련된 글

페이지 정보

작성자 whagok22341 작성일10-09-14 06:51 조회2,169회 댓글0건

본문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반드시 읽어야 할 제주 4.3 사건에 관련된 글

 

 

- 당시 제주 4.3 사건의 진상 조사, 정부 사과 발표문은 출발부터 잘못 된 진상조

 

사 과정에서 진행되고 결론 지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좌파정부의 의도적 거짓내용이 포함된 발표문 채택시 이에 항의하며

 

진상조사위원에서 사퇴한 한광덕, 이황우, 유재갑위원의 정의로운 의거에 경의를 표

 

한다. 아래 한광덕 장군의 성명문 일부의 내용에 주목한다. / 2010. 8. 1. 아래의

 

을 화곡 김찬수가 옮김.

 

 

 

 

당시의 Ohmynews 보도(참고)

 Re: Ohmynews "죽을때까지 4.3문제 이의 제기 할 것"(옮김)

 


 

(*** 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가 채택되었던  2003년 10월 15일 오후, 국무총리실 대회의실 출입구에는 수많은 기자들의 취재가 있었음에도 보도로는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운영자께서 오마이뉴스의 기사를 발견하고  옮겨 주셨습니다.  당시 상황의 일부가 알려지게 된 것에 대하여 오마이 뉴스에 늦게 감사하며, 서현식 전우의 노고에도 감사합니다. 2007.3.20.23:00 인강 ***)
 
4·3 진상조사 보고서 채택
한광덕 위원 등 3명, 4·3위원회 위원직 사퇴 의사 밝혀
  고성만(kosman) 기자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가 최종 확정됐다.

'제주 4·3 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위원장 고건 국무총리·이하 4·3 위원회)는 지난 15일 5시 중앙정부청사에서 제8차 회의를 열어 지난 3월 29일 열렸던 7차 회의에서 조건부 의결했던 '4·3보고서'를 최종 확정한 것이다.

이로써, 여순사건과 5·18, 노근리 등 과거 사건이 특별법에 의해 최초로 정부 진상조사보고서가 완성됐다.

총 20명의 4·3위원회 위원 중 세 명이 불참한 가운데 진행된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6개월의 유예기간동안 20개 기관, 단체 및 개인으로부터 376건의 수정의견이 접수됐고, 검토소위원회를 구성하여 4차례의 심의를 거쳐 마련된 수정안을 의결했다.

이날 의결된 진상조사 보고서 수정안은 '표현수정 및 첨삭 21건', '사실관계 수정 및 첨삭 10건', '새로운 자료에 의한 내용 추가 2건' 등 총 33건이다.

위원회는 보고서에 '사건의 성격이나 역사적 평가는 앞으로 새로운 사료나 증거가 나타나면 보완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시키기로 했다'는 조항을 명시함으써 '4·3보고서'의 수정, 보완 여지를 남겼다.

위원회는 또 4·3보고서가 확정됨에 따라 4·3위원회가 접수한 대정부 7개 건의안, 즉 '정부의 사과표명', '추모기념일 제정', '평화와 인권자료로의 활용', '4·3평화공원 조성 지원', '생활이 어려운 유가족의 생계비 지원', '집단 매장지 및 유적지 발굴 사업 지원', '진상규명 및 기념사업 지속 지원' 등의 내용을 정부 각 부처와 검토하여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회의를 마치고, 김삼웅(성균관대 겸임교수) 위원은 "4·3특별법의 목적에 맞게 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에 중점을 두었다"며 "정부가 과거 국가의 과오를 인정하는 첫 보고서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창욱(전 4·3유족회 회장) 위원도 "유족의 한 사람으로서 정부 차원의 보고서가 채택되어 기쁘다"며 "후속 조치들이 순조롭게 진행돼 제주도민과 4·3유족들의 아픈 마음을 조금이나마 위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경측의 입장을 대변했던 한광덕(전 국방대학원장) 위원과 이황우(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위원, 유재갑(경기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위원은 "회의의 의사결정 과정이 부당하다"며 "오늘부로 4·3위원회 위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4·3보고서'는 서무과 4·3일지, 참고문헌 및 사진자료 등의 부록 부문을 첨가해 오는 11월 말경 발간될 예정이다.
"죽을 때까지 4·3 문제 이의 제기할 것"
<현장>4·3보고서 채택부터 3명의 전문위원 사퇴까지
텍스트만보기   고성만(kosman) 기자   
거짓말을 신문에 쓸 수 있어?

10일 15일 오후 5시로 예정된 4·3 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위원들이 입장하는 가운데, 4시 40분경 신용하(서울대 교수) 위원이 회의장 안으로 들어서면서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조선일보>에 실린 나종삼(4·3위원회) 전문위원의 기고문 때문이었다.

조선일보 나종삼 전문위원 기고문 바로가기

"수정안 심사를 한 차례밖에 하지 않았다니, 명색이 공무원이 말이야. 회의 내용을 존중해야지. 어떻게 이런 거짓말을 신문에 쓸 수가 있어. 우리는 글을 쓸 줄 몰라서 가만 있는 줄 알아. 지금이 군사 독재 시절인 줄 알아!"

▲ 신용하 위원이 나종삼 전문위원의 조선일보 기고에 대해 "어떻게 신문에 거짓말을 쓸 수 있는가"라며 강하게 항변하고 있다.
ⓒ 고성만

▲ 신용하 위원과 설전을 벌였던 유보선 위원
ⓒ 고성만

그러자 마주 앉아있던 유재갑(경기대 교수) 위원과 유보선(국방부 차관) 위원이 대응을 했다.

"거짓말이라뇨. 말씀이 지나치십니다."

이에 서중석(성균관대 교수) 위원과 김삼웅(전 대한매일 주필) 위원이 맞불을 놨다.

"당신들이 출석을 하지 않은 것이지, 수정안 검토 소위원회 회의가 어떻게 한 차례만 열렸습니까. 말을 바로 하셔야죠!"

▲ 나종삼 전문위원의 조선일보 기고로 심기가 불편한 신용하 위원
ⓒ 고성만

▲ 보고서 채택에 대한 설전이 오가고 있다.
ⓒ 고성만

문제의 발단은 나종삼 전문위원이 조선일보에 기고한 내용 중 "수정안 심사는 실제 10월 4일 달랑 하루뿐이었으며, 시간은 3시간 정도뿐이었다"며 "3시간에 350여 건의 수정 요구를 모두 토의할 수는 없어…대부분의 수정 요구는 심사도 해보지 못하고 부결처리되었다"는 부분 때문이었다. 수정안 검토 소위원회 회의는 총 4차례게 걸쳐 열렸다.

4·3 보고서 작업을 해오며 내부에서 미묘하게 오갔던 신경전이 나종삼 전문위원의 돌출 행동으로 터지게 된 것이다. 십여 분 동안 치열한 설전이 오갔다. 그동안 우근민(제주도지사) 위원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국민화합차원에서, 대승적 관점에서 결정"

장내가 정리되자 고건(국무총리) 위원장이 회의장에 들어왔다. 김점곤 위원의 사퇴로 새로 선임된 유재갑 위원이 먼저 소개됐다.

▲ 고건 4.3위원회의 위원장의 주재로 회의가 진행됐다.
ⓒ 고성만

고건 위원장은 "위원 각자의 입장이나 견해가 다를 수 있겠습니다만, 국민 화합 차원에서, 대승적 관점에서 오늘 안건을 결정해 주시기를 바랍니다"라고 당부하며 회의를 주재해 나갔다.

기자들이 회의장을 퇴장하고,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됐다. 회의는 80분 예정이었다.

한광덕(전 국방대학원장) 위원이 십여 분 늦게 회의장에 도착했다.

"국가 과오 인정한 것"..."제주 사람들의 피해 보고서"

▲ 회의를 마치고 회의장을 빠져 나오는 김정기 위원, 김삼웅 위원(왼쪽부터)
ⓒ 고성만


오후 6시 30분. 회의장 문이 열리면서 4·3 보고서가 통과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위원들이 하나 둘 회의장을 빠져 나오기 시작했다. 보고서는 총 참석인원 17명 중 14명의 찬성으로 채택되었다.

당초 이날 회의에서 4·3 보고서가 채택되리라고 보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 나종삼 전문위원의 기고에서도 볼 수 있듯이 4·3 사건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정식 채택이 되기는 했지만 계속되는 이의 제기와 보고서에 대한 원론적인 문제 제기로 그 과정이 쉽지는 않았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김삼웅 위원은 "정부가 과거 국가의 과오를 인정하는 첫 보고서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소회를 밝혔다. 박창욱 위원은 "유족의 한 사람으로서 정부 차원의 보고서가 채택되어 기쁘다"며 "후속 조치들이 순조롭게 진행돼 제주도민과 4·3 유족들의 아픈 마음을 조금이나마 위로했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총리가 4.3보고서를 날치기 통과시켰다"라고 주장하며 위원직 사퇴를 선언한 한광덕 위원
ⓒ 고성만

▲ 이날 새로 선임된 유재갑 위원도 회의 결과에 불만을 표시, 위원직을 사퇴했다.
ⓒ 고성만

▲ '회의가 부당하게 진행됐다'고 주장하며 세 위원이 사퇴를 선언했다. 좌로부터 한광덕, 이황우, 유재갑 위원
ⓒ 고성만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이어지던 가운데 갑자기 한광덕 위원이 "기자분들 어디 계십니까?"라며 기자들을 찾았다.

"총리가 일방적으로 날치기 통과했습니다. 민주주의 정부에서 어떻게 이런 식으로 통과시킬 수 있습니까?"

한광덕 위원은 '제8차 4·3회의 발표 내용'이라는 준비한 발표 자료를 기자들에게 나눠주며 말했다.

"죽을 때까지 4·3 문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겁니다. 보고서에도 새로운 내용이 나타나면 보완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있어요. 이런 식으로는 합의할 수 없습니다."

갑자기 이황우(동국대 교수) 위원이 "이황우, 사퇴합니다!"라고 밝히고, 이어 한광덕, 유재갑 위원도 사퇴 의사를 밝혔다.

유재갑 위원은 "이 보고서는 제주 사람들의 피해 보고서지 4·3 사건에 대한 보고서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유재갑 위원은 결국 4·3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된 후 처음으로 참석한 회의에서 사퇴를 한 것이다.

한광덕 위원이 기자들에게 배포한 자료는 ▲4·3 보고서 심의 과정에 문제가 있다 ▲4·3에 남로당 중앙당이 개입했다 ▲4·3 사건은 봉기가 아니라 무장 폭동이었다 ▲미국과 이승만 대통령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A4 6쪽 분량의 자료.

다음은 한 위원이 준비한 자료의 일부 글이다.

 

* 옮긴이 주(註). 아래 한광덕 장군의 글에서 올바르고 당당한 군인정신을 읽을

 

수 있다

"직업 군인으로 반평생을 살았던 예비역 입장에서 볼 때 군·경에는 불리하고 인민 무장대에는 유리한 표현과 자료만이 반복됨으로써 당시 힘든 상황 하에서 폭동의 진압 임무를 수행해야 했던 군과 경찰의 선배들이 무자비한 학살자로 둔갑되는 현상이 밤잠을 못 이루도록 마음이 아팠다."

"이 책자를 읽게 되면 후세의 국민들도 4·3 사건 당시의 역사적 배경도 이해를 하고 앞으로 동일한 과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군과 경찰과 국민들이 어떻게 하는 것이 정도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어떤 교훈 도출도 가능해야 하는 것인데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 국가 보고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4·3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는 내란일 수밖에 없고 범법자들의 일부에 대해서는 내란죄가 적용되었는데 내란을 봉기로 역사에 기록하는 정부가 지구상에 존재합니까? 조직적인 훈련으로 무장을 해서 경찰서를 습격방화하고 선거관리요원들과 지지하는 인사들을 무자비하게 살해한 집단행위를 봉기로 본다면 앞으로의 유사상황 발생은 어떻게 막아낼 것인가의 차원에서도 이 문제를 보아야 할 것입니다."

"본 보고서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책임론을 펴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주장입니다. 대통령에게 책임을 묻는다는 것은 대통령이 국정을 수행하지 말라는 주장과 같으며 이는 국가의 존립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4·3 위원회의 기본임무는 4·3 폭동을 무장 봉기로 바꾸면서 군법회의에서 '내란죄'로 판결 받은 수형인들의 범죄까지를 없애주기 위해서 노력할 것이 아니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과잉 진압으로 내란에 가담하지 않았음에도 처형된 선량한 제주도민들, 우익계 민주인사들, 그리고 1700여 명의 제주도민들을 죽인 인민해방군에 가담하지도 않았고, 동조 협력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처형되거나 수형인이 된 사람들을 가려내어 그들이 진정한 희생자로 인정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참고> 아래는 뻔뻔하기 짝이 없는 위 본문의 역사학자 신용하란 좌파 학자가 의도적으로 공격한 나종삼 위원의 조선일보에 게재된 올바른 사실적 기고 전문이다.

 



[시론] 4·3보고서는 반쪽 보고서

군·경에 의한 희생만 부각 … 수정안도 1일만에 심사


▲ 나종삼/제주4·3위원회 전문위원
오늘(10월 15일) 최종 채택 예정인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는 충돌당사자들인 공산당(남로당)측과 미 군정측(군 및 경찰)의 활동상이 모두 망라되어야 하지만, 공산당측의 주요 대책회의와 주요활동 및 우익인사 처형 등 활동상은 덮어두고 군·경에 의한 주민희생과 심지어 희생자의 가족사항까지 기록하는 등 한쪽사항만 부각시켰다. 한마디로 진상을 규명하는 보고서가 아니라 인권침해에 초점을 맞춘 인권보고서가 되어버렸다.

필자는 작성팀의 한 사람으로서 제주도 공산당(남로당)이 수행한 모든 내용이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보고서 작성팀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제주도 출신 전문위원들(집필자 4명 중 3명)이 이를 묵살, 인권침해에 초점을 맞추어 작성한 후 별 수정없이 채택되었다.

보고서는 꼭 포함되어야 할 공산당(남로당)이 개최한 1948년 4월 15일의 제주도당대회, 미 군정의 조치에 대한 무장대 사령관과 군내 프락치 간의 2차례의 대책회의 내용, 제주도를 일거에 장악하려 했던 군·경 프락치사건 등이 누락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무장대에 토벌대 중대장이 전사하고 1개중대가 패전하여 많은 희생자를 낸 신엄리전투와 노루악전투, 그리고 야전에서 정면으로 부딪친 녹하악전투 등이 누락됐다. 이에 따라 마치 4·3사건이 공산주의자와는 별로 관계가 없으며 군·경이 공산무장대와는 별 전투도 하지 않았고, 일방적으로 주민을 학살한 것으로 착각하도록 만들었다.

남로당 제주도당이 무었을 노렸는가를 분석하는 작업을 소홀히 하고, 심지어 폭동지령이 있었는데도 ‘없었다’고 쓰는 등 몇 군데서 자료를 거꾸로 해석, 국가보고서로서는 부실한 보고서가 되어버렸다. 이는 제주도 출신 집필진이 희생자 명예회복에 주안점을 두고 작성하였기 때문이다.

필자는 채용시의 계약조건 때문에 6·25전쟁 이후 부분만 집필하고, 기타 부분은 의견을 제출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후 6개월간의 수정의견 제출기간이 주어짐에 따라 많은 수정의견을 제출하였으나, 집필자의 아집과 토의도 하지 않고 묵살해 버린 심사소위원회의 졸속처리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할 수가 없었다.

실질적으로 수정안을 심사한 민간위원 5명 중 군·경측 위원은 단 1명으로 파악되었다. 수정안 심사는 실제 10월 4일 달랑 하루뿐이었으며, 시간은 3시간 정도뿐이었다. 3시간에 350여 건의 수정요구를 모두 토의할 수는 없어 모 기관에서 제출한 수정요구만 검토하고는 모든 심사를 끝냈으며, 대부분의 수정요구는 심사도 해보지 못하고 부결처리되었다.

이는 수정안 제출 의미를 무색케 하는 조치였다. 이어 10월 7일 총리와 각료까지 참가한 소위원회가 열려 국방차관이 많은 요구를 했으나 중과부적으로 결과는 별무신통이었다고 한다.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은 집필진이나 심사소위원회의 인적구성이 불균형하게 구성되었기 때문이었다.

국가가 작성하는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는 모든 진상이 소상하게 규명되어야 하건만, 이해당사자인 제주도 사람들이 주류가 되어서 한풀이식의 인권조사보고서와 비슷한 보고서를 만들어서야 되겠는가. 진상조사보고서를 더 이상 수정할 수 없다면 차라리 이번 보고서에는 ‘인권침해를 중심으로’란 부제를 달아 발간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보고서를 별도로 발간하여야 한다.

(나종삼·제주4·3위원회 전문위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목록

Total 18,634건 434 페이지
(구)자유게시판(2012이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5644 진정한 이 시대의 義人 북진멸공 2010-09-14 2249 22
5643 이승만 동상 ,인하대에 복원한다. 댓글(4) 북진멸공 2010-09-14 2613 33
5642 내게 거짓말을 해봐!!! 에이케이 2010-09-14 2395 9
열람중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반드시 읽어야 할 제주 4.3 사… whagok22341 2010-09-14 2170 7
5640 김대중은 친일파? 빨갱이? 댓글(2) 금강야차 2010-09-14 2660 27
5639 이명박 앞에 선 경제인들 절절 매드만! 댓글(3) 오막사리 2010-09-14 2518 15
5638 제가 보는 지 만원 박사님 댓글(2) 그래요 2010-09-13 2295 25
5637 이산가족상봉은 반인도적 동물원식 쇼이고 앵벌이 달러프로… 댓글(2) 비전원 2010-09-13 2435 10
5636 좌밥들 쌀, 시멘트 보내는 것 보고"천안함 폭침은 가짜… 댓글(1) 조고아제 2010-09-13 2460 22
5635 [re]병역 안 치르고 출세한 사람들, 무대에서 사라져… 댓글(2) 달마 2010-09-13 2043 16
5634 벌초할 때 주의하세요. 댓글(1) 금강야차 2010-09-13 2634 16
5633 장길산은 황석영이 되고 싶은 반역자 댓글(2) 북진멸공 2010-09-13 3015 22
5632 군 미필자에, 댓글(3) 피안 2010-09-13 2606 16
5631 조봉암에 대한 평가와 사형집행에 대해 댓글(4) 갈천 2010-09-13 2539 13
5630 이쯤에서 박근혜와 이명박 중 누가 애국세력인지 판단 해… 댓글(6) 조고아제 2010-09-13 2232 31
5629 돌겠다 돌겠어! 댓글(3) panama 2010-09-13 2618 25
5628 관리자님, 박사님 글(최근글)에서 직접 e-mail이나… tristkr 2010-09-13 2938 3
5627 나라 망치는 '文民’정권 댓글(2) 산하 2010-09-13 2060 30
5626 제주도 4.3사건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댓글(3) 새벽이슬같은청년 2010-09-13 3176 2
5625 명박은 복종,정일은 지시 댓글(1) 북진멸공 2010-09-13 2462 12
5624 이명박이 이렇게 비실거리는 이유는.. 댓글(2) 일지 2010-09-13 2365 29
5623 속터져 못 살겠다. 이명박 물러나라!! 댓글(2) 장수영 2010-09-13 2746 44
5622 이산가족도 '이산가족'이란 단어도 이젠 없다 댓글(1) 東素河 2010-09-13 2738 21
5621 호외! 김정일과 청와대가 트위터로 맞팔로잉,신문기사 댓글(2) 북진멸공 2010-09-13 2833 13
5620 언론사 사장단의 김정일에 충성약속과 상납물품 북진멸공 2010-09-13 2525 14
5619 "소설 황장엽 "집필에 돌입한 이문열 댓글(3) 북진멸공 2010-09-13 2612 12
5618 5.18반란에 대해 반란이라고 보도하는 신문이 없는 더… 댓글(2) 북진멸공 2010-09-13 2281 21
5617 왜 밥을 주지 쌀을 주나? 댓글(2) 파타 2010-09-13 2220 15
5616 대한적십자 빨갱이들,방금(2010.9.13.09시) 북… 댓글(1) 북진멸공 2010-09-13 2155 8
5615 동아 호외는 가짜 김일성을 진짜로 인정할 수 있는 증거… 댓글(1) 비탈로즈 2010-09-13 3598 13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