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艦 피격잊었다 9.11 테러 당했다 (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제갈공명 작성일10-05-05 00:19 조회2,30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000년 10월 12일
미군 전함 USS 콜(Cole) 호가 예멘 앞바다에서 자살폭탄 공격을 받아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폭탄을 가득 실은 보트가 급유 중이던 USS 콜호에 접근해 폭발했고,
식당에서 점심을 먹으려고 줄을 서 있던 병사들이 죽고 부상당했다.
당시 미 정보기관들은
USS 콜 피격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끄는 테러조직 알카에다의 소행이란 걸 짐작하고 있었다.
알카에다는 이미 미국에 대한 테러공격 계획을 하나씩 진행 중이었고,
그해 1월엔 또 다른 미국 전함을 공격하려다가 실패한 일도 있었다.
사고 직후 클린턴 대통령은
"누가 이런 일을 했는지 찾아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은 했다.
그러나 미국은 응징도, 보복도 하지 않았다.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결정한 건 아니었다.
사건 발생 두달 후 중앙정보국(CIA)은
"알카에다가 이 공격을 지원한 것으로 보이는데 확실한 결론은 아니다"는 식으로
애매한 입장을 취해 정부를 주춤하게 만들었다.
같은 시기 알카에다는 세력을 강화했다.
USS 콜 공격을 '성공'이라고 홍보하면서, 빈 라덴은 더 많은 동조자와 자금을 끌어들였다.
미국이 '무대응'으로 간 또 다른 이유는
그해 11월 7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의 재개표 논란이었다.
승자가 결정되지 않은 채 한 달여가 흘러갔다.
정치 대소동이 벌어지는 동안 사람들은 USS 콜 피격사건을 잊어버렸다.
그러고서 2001년 9·11 테러가 일어나 뉴욕과 워싱턴에서 약 3000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때서야 미국은 USS 콜을 다시 기억해냈다.
미 의회는 9·11 테러 진상조사위를 구성해 2004년 최종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하나가 미국 정부가 USS 콜 피격사건을 얼마나 허술하게 다뤘는가였다.
전함이 피격당하고도 정부가 손 놓고 있게 된 데는 다 그럴듯한 이유가 있었다.
클린턴은 정보기관들이 군사 공격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확실하게
빈 라덴의 소행이라는 결론을 내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국방부와 국무부도 비슷한 이유를 댔다.
정보기관은 임기 말의 대통령에게 부담을 줄 수도 있을 것 같아
응징 방안에 대한 보고서는 아예 내지 않았다고 했다.
미국은 결국 알카에다 활동지역인 아프가니스탄 등에 외교적 협력을 요구하고,
유엔 안보리 제재안을 추진하는 등 뭔가 하는 시늉만 했다.
새로 취임한 부시 대통령은 사건 한 번 날 때마다 군사 대응하는 식으로 처리하고 싶진 않다면서,
근본적으로 테러조직을 없애겠다고 했다.
'당장 아무 대응도 하지 않는다'는 건 마찬가지였다.
군이 내놓은 각종 군사적 대응 방안엔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당시 미국 정부가 원했던 정보는
'빈 라덴이 USS 콜 테러를 직접 지시했다'는 걸 증명할 수 있는 '확실한 증거'였다.
테러조직의 명령전달 문서나, 빈 라덴이 명령하는 걸 옆에서 본 사람의 증언 수준의 증거를 필요로 했던 것이다.
대통령과 정보기관이 확실한 증거 부족을 이유로 움직이지 않는 사이
희생된 병사들은 잊혔고,
미국은 불과 1년도 안 돼 9·11 테러라는 대참사를 '무대응'의 대가로 치렀다.
보복이나 응징이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한 한풀이보다
미래의 안보를 위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간과했던 것이다.
도발의 책임을 묻지 않으면 도발은 계속되고 더 커진다.
우리가 북한을 상대하면서 얻는 교훈도 같은 것이다.
출처 : 조선일보 칼럼
미군 전함 USS 콜(Cole) 호가 예멘 앞바다에서 자살폭탄 공격을 받아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폭탄을 가득 실은 보트가 급유 중이던 USS 콜호에 접근해 폭발했고,
식당에서 점심을 먹으려고 줄을 서 있던 병사들이 죽고 부상당했다.
당시 미 정보기관들은
USS 콜 피격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끄는 테러조직 알카에다의 소행이란 걸 짐작하고 있었다.
알카에다는 이미 미국에 대한 테러공격 계획을 하나씩 진행 중이었고,
그해 1월엔 또 다른 미국 전함을 공격하려다가 실패한 일도 있었다.
사고 직후 클린턴 대통령은
"누가 이런 일을 했는지 찾아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은 했다.
그러나 미국은 응징도, 보복도 하지 않았다.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결정한 건 아니었다.
사건 발생 두달 후 중앙정보국(CIA)은
"알카에다가 이 공격을 지원한 것으로 보이는데 확실한 결론은 아니다"는 식으로
애매한 입장을 취해 정부를 주춤하게 만들었다.
같은 시기 알카에다는 세력을 강화했다.
USS 콜 공격을 '성공'이라고 홍보하면서, 빈 라덴은 더 많은 동조자와 자금을 끌어들였다.
미국이 '무대응'으로 간 또 다른 이유는
그해 11월 7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의 재개표 논란이었다.
승자가 결정되지 않은 채 한 달여가 흘러갔다.
정치 대소동이 벌어지는 동안 사람들은 USS 콜 피격사건을 잊어버렸다.
그러고서 2001년 9·11 테러가 일어나 뉴욕과 워싱턴에서 약 3000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때서야 미국은 USS 콜을 다시 기억해냈다.
미 의회는 9·11 테러 진상조사위를 구성해 2004년 최종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하나가 미국 정부가 USS 콜 피격사건을 얼마나 허술하게 다뤘는가였다.
전함이 피격당하고도 정부가 손 놓고 있게 된 데는 다 그럴듯한 이유가 있었다.
클린턴은 정보기관들이 군사 공격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확실하게
빈 라덴의 소행이라는 결론을 내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국방부와 국무부도 비슷한 이유를 댔다.
정보기관은 임기 말의 대통령에게 부담을 줄 수도 있을 것 같아
응징 방안에 대한 보고서는 아예 내지 않았다고 했다.
미국은 결국 알카에다 활동지역인 아프가니스탄 등에 외교적 협력을 요구하고,
유엔 안보리 제재안을 추진하는 등 뭔가 하는 시늉만 했다.
새로 취임한 부시 대통령은 사건 한 번 날 때마다 군사 대응하는 식으로 처리하고 싶진 않다면서,
근본적으로 테러조직을 없애겠다고 했다.
'당장 아무 대응도 하지 않는다'는 건 마찬가지였다.
군이 내놓은 각종 군사적 대응 방안엔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당시 미국 정부가 원했던 정보는
'빈 라덴이 USS 콜 테러를 직접 지시했다'는 걸 증명할 수 있는 '확실한 증거'였다.
테러조직의 명령전달 문서나, 빈 라덴이 명령하는 걸 옆에서 본 사람의 증언 수준의 증거를 필요로 했던 것이다.
대통령과 정보기관이 확실한 증거 부족을 이유로 움직이지 않는 사이
희생된 병사들은 잊혔고,
미국은 불과 1년도 안 돼 9·11 테러라는 대참사를 '무대응'의 대가로 치렀다.
보복이나 응징이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한 한풀이보다
미래의 안보를 위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간과했던 것이다.
도발의 책임을 묻지 않으면 도발은 계속되고 더 커진다.
우리가 북한을 상대하면서 얻는 교훈도 같은 것이다.
출처 : 조선일보 칼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